최근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발생한 오미크론 바이러스 전파로 전 세계에 비상이 걸린 가운데, 북한 당국도 비상방역 강화사업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일 데일리NK 함경북도 소식통에 따르면, 지난달 28일 전국의 방역사령부에 비상방역 사업을 강화하며 철저한 대책을 세울 데 대한 중앙 비상방역사령부의 긴급지시문이 포치(하달)됐다.
이에 따라 함경북도에서는 당일 도‧시 방역소, 도병원, 시병원, 진료소 과장급 이상 긴급회의가 열렸다. 회의에서는 우선 의사들이 자기가 맡은 관내에서 발열 환자들이 발생하지 않게 대책을 철저히 세우며 관리를 잘하라는 지시가 하달됐다.
특히 다음날(29일)부터 담당 의사들은 자기 관내의 세대들을 한 집씩 2차례 이상 돌면서 열나는 환자는 없는지, 다른 증상으로 아픈 데는 없는지 등을 체크하고 병원과 방역소에 즉시 보고하라는 점도 강조됐다.
또한 지역 담당 의사들이 관내에서 발열 환자들이 발생하거나 이상 증상 환자를 빨리 찾아내지 못하고 대책을 세우지 못하면 처벌을 가하겠다는 으름장도 이어졌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구체적으로 농촌 병원으로 간부사업(인사조치)을 당할 수 있고, 과오의 심각성 정도 따라 자격 박탈까지 할 수 있다는 다는 것이 핵심 내용이라고 소식통은 전했다.
북한은 이처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의사담당 구역제를 통한 전파 방지에 몰두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주민들의 불만은 상당하다는 전언이다.
일단 북한 의사담당 구역제는 1960년 2월에 개최된 최고인민회의 제2기 7차회의에서 시작된다. 당시 ‘완전하고 전반적인 무상치료제’를 전지역에서 실시한다고 한 데 이어 이듬해 9월 노동당 제4차 대회에서 의사담당 구역제 실시를 공식 선포했다.
이후 거주지 단위로 하는 ‘거주주민 담당제’와 공장이나 기업소 등을 기준으로 하는 ‘직장 담당제’로 좀 더 촘촘한 구조를 꾀하기도 했었다.
그런데 1990년 이후부터 무상치료제가 유명무실해지고 ‘의사담당구역제’도 형식적으로만 존재해왔었다.
그러나 코로나 사태 후 담당 구역 의사들은 오전과 오후 한 번씩 담당구역 세대들을 돌며 열 체크를 하고 있지만 정작 치료엔 별로 관심 없다고 한다.
소식통은 “아프다고 약도 보장해주지 않으면서 발열 점검만 매일 해서 무슨 소용이냐”면서 “그러나 담당 의사들은 구역에서 발열 환자가 발생할 경우 그 책임을 자신들이 져야 하는 만큼 이 부분만 관심을 두고 있다”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