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F 외교장관회의 뭘 논의하나

아시아.태평양 지역 내 유일한 정부간 다자안보협의체인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외교장관회의가 23일 개막된다.

이번 회의는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와 핵실험에 따른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 국면에서 북한을 비롯한 관련국들의 정부 고위 관리가 한자리에 모인다는 점에서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회의에서는 먼저 ARF가 정부간 다자안보협의체인 만큼 한반도와 미얀마 정세 등 지역 안보정세와 테러를 비롯한 국제 및 지역 안보정세가 주로 다뤄질 전망이다.

아울러 역내 신뢰구축조치와 예방외교, ARF의 발전 방안 등에 대한 논의도 이뤄진다.

특히 북한 핵실험과 이에 대한 국제사회의 제재가 중점적으로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국제사회의 대북제재를 주도하고 있는 미국의 이언 켈리 국무부 대변인은 앞서 14일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이 참석하는 ARF에서 북한 문제가 의제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고 클린턴 장관은 21일 ARF에서 북한측과 만날 의향이 없다고 말해 ARF에서도 대북 제재 국면을 이어갈 것임을 시사했다.

미 국무부는 또 ARF 성명서에 북한과 관련된 부분이 채택될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우리 정부는 이번 회의에서 북핵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ARF 회원국의 지지를 확보하고 테러리즘, 대량살상무기(WMD) 비확산 등 비전통적 안보에서 협력을 촉구한다는 방침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22일 “유 장관은 ARF에서 북핵문제 등 동북아지역 정세에 대한 우리 입장을 설명하고 이에 대한 국제사회의 이해와 지지를 확보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밖에도 재난구호와 해양안보 등에 대한 각국의 의견 교환이 이뤄지고 ARF 비전성명, ARF 업무방식 개선 보고서, ARF 대테러.초국가범죄 작업 계획(work plan), ARF 재난구호 작업계획 채택 문제가 논의된다.

ARF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정부간 다자안보포럼으로, 아세안 10개국과 한국,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 대화상대 10개국, 그리고 북한과 몽골 등 27개 나라가 참여한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