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 인민군 보위국이 신병 배치 과정에서 발생하는 군 보위일꾼들의 비리 문제를 차단하기 위해 내부 통제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군 보위부의 기강 해이를 정조준한 강연자료가 내려졌다는 전언이다.
29일 데일리NK 북한 내부 소식통에 따르면, 인민군 보위국은 지난 20일 ‘신병 훈련 기간 보위부의 역할과 기강 확립’을 주제로 한 강연자료를 각 군단 보위부 정치부들에 하달하고, 군별 일정에 따라 집중 강연을 진행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이 강연은 단순한 사상 학습이 아닌 신병 배치 과정에서 나타나는 명단 조작, 보직 거래 등 군 보위부 내부 비리를 차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풀이된다.
북한군 신병 배치는 원칙적으로 대열부가 담당하지만, 보위부가 감시 명목으로 배치에 개입할 수 있는 구조라 신병 배치 과정에 군 보위일꾼들의 비리가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로 일부 군 보위일꾼들이 연줄이나 금전 거래를 통해 신병 배치에 관여해 왔다는 내부 고발이 이어져 왔고, 이에 따라 군 보위국이 보위일꾼들의 권한 남용을 바로잡으려 강연을 조직한 것이라는 게 소식통의 설명이다.
군 보위국은 이번 강연자료에서 지난해 4군단 산하의 한 사단에서 발생한 신병 배치 비리 사건을 예로 들었다.
신병 훈련 기간을 거치지 않은 개별 입대생이 입대 당일 군복만 받은 채 곧바로 부대에 배치됐고, 심지어 정식 편제에도 없는 피복 서기 보직을 맡게 된 일이 있었던 것.
알고 보니 여기에는 군단 보위부와 대열부 간부들이 여럿 연루돼 있었고, 결국 이들은 신병 배치 과정에 비리를 저지른 것으로 정치적·행정적 처벌을 받게 됐다.
이번 강연자료에는 군 보위부의 신병 배치 과정 개입 금지, 배치 명단 조작 및 외부 접촉 차단 등의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이 자료를 바탕으로 한 현장 강연에서는 “보위지도원 감투를 쓰고 덤비다가 군복을 벗게 될 수 있다”는 강한 경고성 언급도 있었다고 한다.
소식통은 “평소에는 회의 마지막에나 간단히 언급되던 내용이었는데, 이번에는 아예 강연자료로 별도 하달돼 이전과는 분위기가 사뭇 다르다”며 “말만 강연이지 실제로는 전군 보위일꾼 통제령이 내려진 셈”이라고 말했다.
이어 소식통은 “보위부가 오랫동안 군 내부 권력의 정점으로 군림해 왔는데, 이번 강연으로 제동이 걸린 느낌”이라며 “앞으로 비리에 걸리는 경우 대대적으로 대열을 정비하는(인사) 사업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군 보위국이 보위일꾼들의 비리 행위를 경고하고 나섬에 따라 신병 배치가 마무리되는 6월 말 7월 초까지는 내부에 긴장된 분위기가 이어질 것으로 관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