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 당국이 중국 휴대전화 사용자를 내외부 정보 유출입의 주범으로 간주하면서 국경 지역을 중심으로 중국 휴대전화 사용자에 대한 강력한 단속을 실시하고 있다.
11일 데일리NK 양강도 소식통은 “국가보위성에서 파견된 단속조가 지난달 초부터 중국과 마주하고 있는 평안북도, 자강도, 양강도, 함경북도 등 4개 도(道) 국경 지역에서 중국 손전화(휴대전화) 사용 행위에 대한 강력한 단속을 진행하고 있다”며 “국가보위성은 국경 지역의 중국 손전화 사용자들을 무조건 뿌리 뽑으라고 지시한 상태”라고 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지난 한 달간 4개 도에서 중국 휴대전화를 사용하다가 적발돼 체포되거나 자수한 인원이 80여 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현재 각 지역 보위부에서 조사를 받고 있는데, 보위부는 이들이 중국 휴대전화를 사용하면서 민감한 내부 정보를 유출하거나 사상적 동요를 일으키는 외부 정보를 유입하지 않았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이들의 중국 휴대전화 사용 내역을 샅샅이 살피고 있다고 한다.
특히 보위부는 압수한 중국 휴대전화에 기록된 통화 내역은 물론이고 중국의 모바일 메신저를 통해 외부와 연락을 주고받은 흔적을 파악하기 위해 디지털포렌식까지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 당국은 중국 휴대전화 사용자에 대한 단속을 진행하면서 스스로 휴대전화를 제출하고 사용 사실을 자수하면 선처하겠다는 입장을 공공연히 밝히기도 했으나 앞서 중국 휴대전화 사용으로 처벌받은 전력이 있는 ‘재범자’에 대해서만큼은 선처하지 않겠다는 강경한 방침을 내걸고 있다.
이번에 체포된 이들은 최소 10년 이상의 노동교화형을 선고받거나 관리소라고 불리는 정치범수용소에 수감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관측된다.
더욱이 당국은 중국 휴대전화를 사용하다 적발된 이들의 가족들까지 오지로 추방한다는 계획으로 전해졌다. 중국 휴대전화를 사용한 당사자뿐만 아니라 배우자나 자녀들까지 연좌제로 처벌할 만큼 북한 당국이 이 사안에 강력하게 대응하고 있다는 얘기다.
북한 당국이 이렇게 단속 수위를 높이고 중국 휴대전화 사용 행위를 근절하겠다고 나서면서 북중 간 밀무역에도 적신호가 켜진 상태다.
실제 중국에서 수입품을 들여와 판매하는 양강도 김형직군의 한 주민은 “중국 대방(무역업자)과 통화를 하려고 하는데 중국 손전화를 쓰던 사람들이 죄다 끌려가 연락이 힘들어졌다”고 토로했다.
중국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중국과의 밀무역을 연계하거나 해외 송금을 도와주는 사람들인데, 이들이 단속되거나 잠적하고 있어 밀무역으로 생계를 이어가는 주민들의 피해도 커지고 있다는 게 그의 말이다.
결국에는 중국 휴대전화 사용 단속이 강화될수록 주민들의 경제활동이 위축되고 생계에 직접적인 타격이 가해지기 때문에 내부 불만이 고조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소식통은 “중국 손전화 사용을 금지한 게 하루 이틀이 아닌데 손전화 사용자는 줄어들지 않고 있다”며 “먹고 사는 일이 달려있기 때문에 아무리 강력하게 단속해도 중국 손전화 사용을 완전히 막을 순 없다”고 했다.
이어 소식통은 “지금 국가에서 중국 손전화 사용자를 강하게 단속하고 있지만 단속도 언젠가는 잠잠해질 것이고 그렇게 되면 중국 손전화 사용자가 다시 또 늘어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