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시 외곽 농촌지역서 ‘메탄가스 에너지화’ 사업 추진

일부 지역에 시범적으로 메탄가스 정제설비 설치…비용은 모두 주민 세외부담으로 해결

평양 사동구역 장천남새전문농장 살림집. 지붕과 마당에 각각 태양광판과 메탄가스탱크가 설치돼 있다. /사진=북한 대외선전매체 ‘서광’ 홈페이지 화면캡처

북한 평양시 인민위원회가 메탄가스 에너지화 사업을 추진할 데 대한 행정지시를 외곽 농촌지역 구역·군 인민위원회들에 내려보낸 것으로 전해졌다.

10일 데일리NK 북한 내부 소식통은 “인민경제 부문별 하반년 과업 관철을 위한 첫 사업으로 평양시 인민위원회는 지난 7일 수도의 외곽 농촌지역에 정제설비를 설치하라는 행정지시를 내려보냈다”고 전했다.

시 인민위원회의 이번 행정지시는 수도 외곽 농촌지역의 만성적인 에너지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생활환경을 개선하려는 목적에서 내려진 것이라는 게 소식통의 설명이다.

소식통은 “수도 외곽 농촌은 중심구역보다 생활 수준이나 환경이 낙후한데, 시 인민위원회는 이번 메탄가스 에네르기(에너지)화 사업 추진으로 외곽 농촌지역 주민들의 땔감 부족 문제를 해결해 인민 생활 향상이라는 당정책을 제대로 관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말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이번 행정지시에 따라 이달 12일부터 평양시 삼석구역, 순안구역, 강동군, 강남군 등 외곽의 농촌 단층 살림집 마을 오수 정화장에 국가과학원이 올해 상반기 새로 개발한 정제설비(분뇨나 오물에서 발생하는 바이오가스를 고순도 메탄가스로 정제하는 설비)를 설치하는 사업이 시범적으로 진행된다.

우선 올해 가을까지 일부 지역에 선도적으로 메탄가스 에너지화 사업을 추진하고, 향후 몇 년간 전체 외곽 농촌지역들에 단계적으로 사업을 확대해 나가겠다는 게 시 인민위원회의 구상이다.

현재로서는 동, 리마다 또는 몇 세대씩 공동으로 오수 정화장에 정제설비를 설치한다는 계획인데, 시 인민위원회는 여기에 들어가는 부수적인 비용을 세외부담을 통해 해결하도록 했다는 전언이다.

실제 강동군 읍 동사무소에서는 인민반장들을 통해 정제설비 설치 사업 참가 대상으로 선정된 모든 세대가 (북한 돈) 7만원을 의무적으로 준비할 것을 포치한 상태다.

이와 관련해 소식통은 “시 인민위원회는 사업 초기 단계에서 자발적으로 정제설비 설치에 나서는 세대들에는 비용 부담을 줄여주는 혜택을 제공해 주민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빠른 사업 시행을 도모하고 있다”고 했다.

다만 소식통은 “외곽 농촌지역 주민들 속에서는 ‘당장은 사업 초기 단계니 시 인민위원회에서 강하게 밀어붙이겠지만 늘 그랬듯 시간이 지나면 사업이 흐지부지될 가능성이 있다’면서 ‘괜히 이번 사업으로 세외부담만 늘어나는 것 아니냐’는 말도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