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주민도 해킹 공격 받는다…계정정보 탈취로 피해 보기도

국가보위성 전파감독국·내각 정보산업성이 해킹 대응…악성코드 심겨진 중고폰 장마당서 판매돼

해킹
북한 내부에서 해커의 계정 탈취, 스마트폰 해킹 등으로 인한 피해 사례들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사진=pixabay

북한 해킹 조직의 사이버 공격이 세계적으로 기승을 부리는 가운데 북한 내부에서도 계정 탈취, 스마트폰 해킹 등에 노출돼 피해를 보는 주민들이 더러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 내부 소식통은 4일 데일리NK에 “국가에서는 적들의 해킹으로부터 우리식 전자방어장벽을 든든하게 치자고 이야기하는데 정작 공격이 안에서 발생하고 있다”며 “미래망(무선통신망)이나 국가망에서 암호 난발(무차별 대입 공격)로 인해 피해를 본 주민들이 있고 손전화(휴대전화) 비법(불법) 변경조종 피해를 받은 사람도 있다”고 전했다.

북한은 내부에서만 접속할 수 있는 폐쇄적인 인트라넷을 사용하고 있어 외부의 해킹 공격 가능성이 크지 않다. 외부 인터넷에 접근할 수 있는 극소수의 사람을 제외하면 사실상 외부로부터 사이버 공격을 받을 일이 거의 없는 셈이다. 그러나 정작 북한 내부에 있는 해커가 주민들을 해킹해 계정 정보를 탈취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소식통은 “작년 말 과기대(평양과학기술대학)2학년 수재 대학생이 해킹으로 붙잡힌 일이 있었다”며 “다만 후에 장난삼아 심심풀이로 한 것으로 판명 나 법적 처벌을 받지도 않았고 정치적으로도 문제가 확대되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북한은 영재 학생들을 선발해 정보기술 인재로 육성하고 있는데, 이런 정보기술 인재들 가운데 일부가 내부 주민들을 대상으로 해킹을 시도하고 있어 주민들이 속수무책으로 피해를 보는 것으로 알려졌다.

소식통은 “사용자명과 암호를 다른 사람이 훔쳐 가 상점 프로그람(애플리케이션)에 등록해 놓은 구좌(계좌)에서 돈이 없어진 사람도 있다”며 “이 때문에 국가보위성이 은행들을 집중적으로 수사한 적이 있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국가기관망에 대한 해킹 방지는 국가보위성 전파감독국이 담당하고 있고 일반 인트라넷망은 내각 정보산업성이 집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미뤄볼 때 북한 내 공공, 민간 분야에서 행해지는 사이버 공격은 두 조직이 분담해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에서도 국가사이버안전센터(공공), 한국인터넷진흥원(민간) 등이 임무와 역할을 나눠 사이버 공격 대응 및 차단에 노력하고 있다.

한편 북한에서는 해커가 악성코드를 심어 놓은 중고 스마트폰이 장마당 등에서 판매되면서 주민들이 피해를 보는 사례들도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소식통은 “장마당에서 장난질 된(해킹된) 손전화를 모르고 사 이상한 짓을 당하는 경우가 있다”면서 “손전화기 장난질(해킹)이라는 것은 꿈에도 생각지도 못한 때에는 신품, 중고품 상관없이 샀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다”고 전했다.

갑자기 휴대전화가 켜지고 스스로 작동하면서 파일이 실행되기도 하고 갑자기 꺼지기도 하는 경우들이 있다는 것이다. 그 외에도 휴대전화 사진첩에 있는 사진 속 얼굴들이 까맣게 낙서 돼 있거나 사진들이 한순간에 다 없어지는 일이 발생한 적도 있다는 게 소식통의 이야기다.

해커가 원격 조종으로 주민들의 휴대전화를 조작하거나 각종 파일에 접근해 손상을 입히고 탈취해가는 일이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소식통은 “그래서 주민들은 중고품 구매할 때 손전화나 컴퓨터를 좀 한다는 젊은 기술자들을 데리고 간다”면서 “아는 판매처에서 사는 것도 장난질 된 손전화를 피하는 방법 중 하나”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손전화기 장난질이 성행했을 때인 지난 3월 평양시, 평성시, 사리원시에서 국가보위성이 60일간 집중 비밀 검열을 하면서 문제가 된 손전화를 회수해갔는데 그렇게 회수하고도 아무런 보상을 안 해줬다”며 “판매봉사소나 판매 개인들도 손해를 배상해주지 않아 이제는 주민들이 자체로 조심하는 형편”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