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함경남도에서 농촌 등 험지 탄원 대상자로 뽑힌 주민들이 진출을 회피하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함경남도 소식통은 18일 데일리NK에 “탄광이나 농촌 같은 인력이 부족한 여러 곳에 탄원할 데 대한 정부 방침에 따라 도내 기관 기업소들과 조직들에서 탄원 대상자로 뽑힌 주민들이 정작 진출하지 않아 문제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험지 탄원은 본래 자발성의 원칙에 따르지만, 북한은 조직적으로 지원 대상을 선발하고 있다는 전언이다.
소식통에 따르면 많은 탄원자를 받기로 한 고원군은 이달 초 무소식인 탄원자 진출 문제를 놓고 군 당위원회와 농촌경영위원회 일꾼들이 모여 고심한 끝에 도 당위원회에 상황을 알렸다.
함경남도는 탄광과 농촌을 끼고 있는 고원지구에만 200여 명의 탄원 대상자 명단을 만들고 현지 곳곳에 배치장을 띄워놓은 상태이지만, 현재 50여 명만 도착한 상태여서 이 문제가 수면 위에 올랐다는 것이다.
도당은 도 인민위원회 노동과에 지시해 아직 진출하지 않은 탄원 대상자들을 전부 장악하게 하고 조직별로 탄원 대상자들의 집에 연락하게 하는 등의 대책을 세우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소식통은 “탄원 대상자 대부분이 청년들로, 이들은 대체로 대학, 전문학교, 고급중학교를 갓 졸업한 이들이거나 직장에서 조직적으로 추천해 억지로 명단에 들어간 이들”이라며 “현재 이들은 도살장에 끌려가는 것처럼 농촌 진출을 거부하고 있는 형편”이라고 전했다.
그러나 도당은 실적으로 당에 충성하고 나라와 이바지하는 애국 청년이 되려면 올해 농촌에 탄원해 식량문제 해결에 앞장서야 한다는 사상을 강조하는 한편, 진출을 거부하는 것은 당정책 집행을 거부하는 것과 같다면서 이를 정치적인 문제로 보겠다고 으름장을 놓고 있다는 설명이다.
특히 도당은 당정책은 곧 법이며, 만약 탄원 대상자들이 말로 해서 듣지 않는다면 조직적으로 대책을 강구해 그들과 그들의 가족을 모두 강제적으로라도 농촌에 끌어다 놓겠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한다.
소식통은 “당정책 집행이라는 명목으로 조직으로부터 어이없이 걸려들어 탄원 대상자가 된 주민들은 시내에서 살다가 농촌 구석에 처박힌다는 것에 기가 막힌다면서 한숨을 짓고 있고, 이 사업을 집행해야 하는 조직들도 도당의 강압적인 처사에 어찌하지 못해 서로가 불편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소식통은 “최근 몇 년 동안에 나라에서 농촌이나 탄광 진출자들을 그전보다 더 자주 뽑아가고 있어 청년들이 불안해 하고 있고, 일반주민들도 억지로 사람을 끌어가는 것에 강한 불만을 드러내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