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북핵 역할분담’ 주목

북핵 6자회담 재개를 위한 다각도의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는 가운데 북한을 테이블로 끌어들이기 위한 한.중 양국의 역할이 새삼 주목된다.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은 22일 이해찬(李海瓚) 총리를 만난 자리에서 “조속한 6자회담 재개를 위해 북한과 미국이 좀더 유연성을 갖도록 한.중이 긴밀히 협력하자”고 밝혔다.

후 주석의 이같은 언급이 새로운 것은 아니지만 6자회담 재개를 둘러싼 북미간 막판 신경전이 치열하게 전개되는 상황에서 한.중의 역할을 부각시킨 것이어서 적지않은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특히 후 주석이 “한국과 적극적으로 의사소통하고 협력하겠다”고 밝혀 북.미간 묵은 감정을 누그러뜨리고 1년간 공전해온 6자회담 재개를 위해 한.중 양국간 ‘역할 분담’이 있을 지 주목된다.

우선 양국이 공동보조를 통해 취할 ‘막판 역할’의 기본 전제는 정동영(鄭東泳) 통일부 장관의 김정일(金正日) 북한 국방위원장 면담 이후 전개되고 있는 긍정적 분위기를 계속 이어가는 것이다.

이를 위한 한.중 양국의 당면 과제는 북.미 양국간 ‘막발 공방’을 막기 위한 외교적 노력이다. 이를테면 한국은 동맹관계인 미국에, 중국은 혈맹관계인 북한에 ‘자제’를 요청하는 것이다.

가령 반기문(潘基文) 외교장관이 전날 미국 고위관리의 ‘폭정의 전초기지’ 발언에 대해 “6자회담 재개 분위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힌 것도 맥이 닿아있다.

정부 관계자는 “현재 우리 정부가 6자회담 재개를 위해 미국에 새롭게 요구할 것은 없다”며 “다만 긍정적인 분위기를 해칠 수 있는 자극적 발언을 자제해 달라고 요청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좀더 적극적인 차원에서는 정동영 장관이 “부시 대통령 각하”라는 김정일 위원장의 발언을 공개했듯이 북.미간 감정을 완화시킬 수 있는 발언 등을 이끌어냄으로써 분위기를 지속시켜 나갈 수도 있다.

나아가 6자회담 재개의 열쇠는 북한이 쥐고 있는 만큼 한.중 모두 대북(對北) 접촉면을 넓혀갈 것으로 보인다.

한국 정부의 경우 정 장관의 ‘평양 면담’에 이어 현재 서울에서 개최중인 남북 장관급회담을 통해 6자회담 재개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북한의 복귀를 거듭 촉구하고 있다.

중국 정부로서는 “북한에 구두메시지를 전달했고 북한측 인사들이 중국에 왔을 때도 설득했다”는 후 주석의 말처럼 북한에 대한 설득 노력을 가속화할 것으로 보인다.

이 과정에서 6자회담 의장국인 중국이 6자회담 ‘날짜잡기’에 나설 수도 있으며 최후의 카드로 북한측이 기다리고 있는 ‘후 주석 방북 카드’를 활용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