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알랙산더 버시바우 주한미대사가 14일 여야를 방문, “전시 작통권 환수 후 한미동맹이 강화될 것”이라고 발언한 것에 대해 여야가 상당한 해석 차이를 보이고 있다.
14일 오후 열린우리당 지도부와 면담을 마친 버시바우 대사는 한나라당 강재섭 대표를 찾아 전시 작전통제권 환수 문제와 차기 대선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한나라당 유기준 대변인에 따르면 버시바우 대사는 “전시 작전통제권 문제가 이슈로 제기될 수 있지만 몇 가지 전제조건이 있어야 한다”며 “안전한 이양과 위험이 최소화 된 로드맵 상태에서 이행, 신중하게 되어야 하고 정쟁의 대상이 되어서도 안 된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버시바우 대사가 열린우리당 지도부를 면담한 자리에서 ‘작통권 환수 이후 한미동맹이 강화될 것’이라고 발언한 것에 대해 유 대변인은 “버시바우 대사가 말한 것은 전제조건이 갖춰진 후 그러한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언급한 것”이라고 말했다.
버시바우 대사의 발언을 둘러싸고 여당은 전시작전통제권 환수 논의가 현재처럼 진행돼도 한미동맹에 이상이 없다는 발언으로 해석한 반면, 야당은 반드시 전제조건이 필요하다는 의미로 제각각 해석하고 있는 셈이다.
한나라당 강재섭 대표 버시바우 대사를 만난 자리에서 “노무현 정부는 한미관계에 대해 ‘위기상황이 아니다’라고 하지만 우리는 위기상황이라고 걱정하고 있다”며 “정부의 공식 외교채널과 별도로 당 차원의 한미 외교채널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검토하자”고 제안했다.
그는 이어 “북핵 문제를 둘러싼 6자회담이 답보상태에 있고, 미사일 발사 등의 북한의 위협이 존재하는 시점에 작통권 단독행사가 이슈화 된 것이 우려된다”며 “대통령이 추진하는 것은 반대하고 차기 정권에서 신중히 검토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버시바우 주한미대사는 강재섭 대표를 만난 자리에서 “지속적이고 정기적인 만남을 통해 한나라당과 양국의 우려사안을 논의하길 바란다”고 답변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버시바우 대사가 이례적으로 차기 대선의 쟁점에 대해 묻자, 강 대표는 “경제와 안보가 가장 큰 쟁점이 될 것”이라고 대답했다.
정재성 기자 jjs@dailynk.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