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자력갱생’ 강조에 주민들 한숨… “외교 실패 감추려는 꼼수”

소식통 “핵미사일 고도화 전략에도 답답함 호소...국경봉쇄 풀고 무역재개해야” 지적도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9일 앞서 5일부터 7일까지 이뤄진 8차 당대회 기간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당 중앙위원회 제7기 사업총화 보고 내용을 공개했다. /사진=노동신문·뉴스1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노동당 8차 대회 사업총화(결산) 보고에서 각종 핵기술 고도화와 더불어 ‘자력갱생’을 되풀이한 데 대해 주민들 사이에서는 싸늘한 반응이 나오고 있다고 소식통이 알려왔다.

평안남도 소식통은 10일 데일리NK에 “지난 5일 개막한 8차 당 대회에서 나온 이야기를 지켜본 주민들이 한숨을 쉬고 있다”면서 “당대회에서 인민 경제 정책보다는 핵과 미사일 문제를 더 강조했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소식통은 이어 “지난해 신형 코로나 비루스(바이러스) 사태로 국경을 봉쇄하고 세관문을 닫아 주민들이 엄청난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면서 “이 부분에 대해 속 시원한 대답을 들을 수 없어 답답함을 호소하는 주민도 있었다”고 덧붙여 설명했다.

앞서 김 위원장은 ‘인민 생활 향상 토대 마련’을 강조하면서 새 국가경제발전 5개년 계획 상정했다고 밝힌 바 있다. 또한 농업과 인민 소비품의 생산을 증대하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다만 구체적 계획은 밝히지 않았고 기존 기조인 자력갱생과 자급자족을 강조하면서 주민들이 크게 실망했다고 한다.

소식통은 “당국이 경제정책에 대한 실패를 인정하는 한편, 대안으로서 ‘자력갱생’이라는 어처구니없는 대안을 제시했다”면서 “80, 90년대의 ‘자력갱생’이 오늘날에 또다시 부각했다는 점으로 볼 때 올해도 정부가 해줄 수 있는 게 아무것도 없다는 얘기가 아니겠느냐”고 지적했다.

또한 주민들은 김 위원장이 핵기술 고도화 및 각종 탄두 개발을 언급했다는 점도 주목하고 있다. ‘대외 관계 확대발전’을 천명했지만, 이 같은 전략 때문에 결국엔 또 다시 실패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이와 관련 김 위원장은 다탄두 유도기술 연구가 마감단계에 있고 정찰위성운용 기술을 확보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극초음속무기 개발, 수중 및 지상 및 지상 발사 고체엔진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핵잠수함, 수중발사 핵전략 무기 보유를 과업으로 제시했다. 핵무기의 소형경량화, 전술무기화를 비롯해 ‘핵탄두 생산’ 추진 의지를 드러낸 셈이다.

김 위원장은 또 군사력 강화의 필요성을 미국의 대북 적대시 정책 때문이라고 단정한 뒤 “앞으로도 강대강, 선대선의 원칙에서 미국을 상대할 것”이라면서 “새로운 조미(북미)관계 수립의 열쇠는 미국이 대조선(대북) 적대시 정책을 철회하는 데 있다”고 주장했다.

‘외부의 적(敵) 때문에 핵 개발’이라는 북한식(式) 반미 선전선동 방식을 되풀이하고 있다는 것으로, 이에 제재 장기화에 따른 경제난을 우려하는 주민들이 속속 포착되고 있다.

주민들은 “지난 기간 대미, 대남정책의 실패를 또 군사력 강화정책으로 감추려고 한다” “지금은 국경봉쇄를 풀고 무역을 재개하는 편이 더 나을 것”이라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고 소식통은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