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는 12일 무인기 도발 책임을 전면 부인한 북한을 향해 “빨리 없어져야 된다” “나라도 아니지 않느냐”며 강도 높은 발언으로 비판했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을 통해 북한이 무인기 사건 책임을 거듭 부인하고 있는 데 대해 “(북한은) 계속 거짓말하는 역사퇴행적인 이야기를 하는데 정말로 있을 수 없는 나라”라면서 “그래서 빨리 없어져야 되는데요, 북한의 말(주장)을 유의미하게 안 써주셨으면 고맙겠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북측의 ‘무인기 공동조사’ 제안 대해 “북측이 국방위검열단을 내세워 우리 측에 공동조사를 요구한 것은 마치 범법자가 자신이 저지른 범죄행위를 스스로 조사하겠다는 적반하장격의 억지주장에 불과한 것으로 일고의 가치도 없다”고 일축했다.
그는 이어 “1998년 북한이 (궤도에 올렸다고) 주장하는 광명성 1호가 올라가지도 못하고 그대로 바다에 떨어졌다는 것을 다 알고 있는데도 광명성 1호가 계속 방송을 내보낸다고 오랫동안 거짓말을 했다”면서 “북한이라는 나라 자체가, 나라도 아니지 않느냐. 오로지 한 사람을 유지하기 위해 있지 않느냐”고 강하게 비판했다.
북한 국방위원회는 11일 검열단 대변인 담화를 통해 추락한 무인기가 북한에서 발진·복귀한 것으로 확인됐다는 우리 측 발표에 대해 “남조선 당국이 제 아무리 ‘북소행’설을 백번천번 날조해내도 우리와는 추호도 상관이 없다”며 ‘무인기 공동조사’를 재차 주장했었다.
또한 김 대변인은 북한이 지난 10일 노동신문 사진을 통해 공개한 AN-2 위협에 “AN-2는 1세대적인 무기로, 동구권에서 농약을 치던 항공기”라며 “북한은 그것을 가져와서 유사시 특수부대를 침투시키기 위해 많은 양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AN-2는 속도가 매우 늦어 넘어올 때 요격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면서 “농약 뿌리는 비행기가 미군의 A-10(탱크킬러)처럼 그렇게 기동성이 있는 것도 아니다”고 지적했다.
AN-2에서 소형 로켓을 발사한 장면을 공개한 것과 관련, 김 대변인은 “표적을 맞추려면 자세 안전장치가 있어야 한다. 어떤 상황에서든 평형상태를 유지하는 시스템이 있어야 한다”면서 “그런 것이 없으면 표적을 맞춘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또한 “대공포는 되게 사거리가 1km 이상인데 AN-2에 장착한 로켓포 사거리는 길어야 700m 정도”라며 “(남측으로 넘어와 이 로켓을 쏜다면) 어느 것이 먼저 떨어지겠느냐”고 반문했다.
군 당국은 유사시 북한이 AN-2를 이용해 특수부대원들을 후방으로 기습 침투시킬 가능성에 대비하고 있다.
북한은 300여 대의 AN-2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항공기는 저고도 비행시 레이더 감시망에 잘 포착되지 않는 것으로 전해져 왔다. 길이 13m, 기폭 18.2m인 AN-2는 완전무장한 특수부대원 10명가량을 태울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