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총화 시간에 비판이 아닌 좋은 사례들을 적극 소개해 따라배우는 방향으로 진행하라는 북한 당국의 지시로 최근엔 이를 부담으로 생각하는 주민들이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함경북도 소식통은 16일 데일리NK와의 통화에서 “최근 각 조직들에서의 생활총화 분위기가 확 달라져서 그런지 이전처럼 이를 기피하려는 주민들이 별로 없다”면서 “전에는 비판을 위주로 이뤄졌다면 최근에는 긍정적인 부분을 적극 장려하고 따라배워야 한다는 식으로 바뀐 것”이라고 전했다.
북한 주민들은 조직생활을 시작하는 만 8세부터 잘못에 대한 자아와 상호비판을 하는 ‘생활총화’에 의무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소년단과 김일성김정일주의청년동맹(청년동맹), 조선사회주의여성동맹(여맹), 직업총동맹(직맹), 조선농업근로자동맹(농근맹) 등 본인이 속한 조직에서 자신과 주변 지인들의 잘못을 비판해야 한다는 말이다.
즉, 돌아가면서 연단으로 나가 10대원칙(당의 유일적영도체계의 10대원칙)의 한 조항이나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교시’나 ‘말씀’을 인용한 후 이를 토대로 한 주간 자신의 잘못을 이야기해야 한다.
또한 잘못을 저지르게 된 원인과 개선하기 위한 방도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해야 한다. 특히 앞선 사람들의 잘못도 비판하고, 다른 사람의 질책도 받아들여야 한다. 이처럼 보복식의 상호 비판을 통해 그 누구도 신뢰하지 못하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이 같은 생활총화는 여러 가지 사회 부작용을 양산했다. 주민들 간 원한이 깊어졌고, 이로 인한 칼부림 사건이 발생하는 등 또 다른 복수를 양산하기도 했다. 특히 간부들끼리 서로 물고 뜯는 권력다툼으로 제대로 된 결속력을 이끌어 내기 어려운 환경이 조성되곤 했다.
이에 대해 소식통은 “주민통제를 위해 강화했던 생활총화가 좋지 않은 방향으로 흘러가자 긍정적인 부분을 강조하고 나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시장이 발달하면서 생활총화를 잘 참여하지 않으려는 주민들이 늘어나자 참가를 유도하기 위해 이 같은 방법을 쓴 것 같다”면서 “‘모범 창출’이라는 명목으로 충성심을 이끌어 내보겠다는 목적도 있어 보인다”고 덧붙였다.
한편 해외 파견 노동자들의 경우 ‘생활총화’에서 자유로워진 것으로 전해진다.
한 대북 소식통은 15일 “러시아에 파견된 근로자들은 생활총화에 참가하지 않아도 되는 등 통제와 규정에 얽매이지 않아도 된다”고 주장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최근 러시아나 중국 등 해외에 파견된 근로자들은 해당 조직으로부터 생활총화를 진행하기 보다는 한 시간이라도 나가 돈을 벌어오라는 지시를 받곤 한다. 사상무장을 강조하던 북한 당국이 자금 확보에 급급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