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생활총화 비판 아닌 긍정적 부분 강조하라”, 속내는?

생활총화 시간에 비판이 아닌 좋은 사례들을 적극 소개해 따라배우는 방향으로 진행하라는 북한 당국의 지시로 최근엔 이를 부담으로 생각하는 주민들이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함경북도 소식통은 16일 데일리NK와의 통화에서 “최근 각 조직들에서의 생활총화 분위기가 확 달라져서 그런지 이전처럼 이를 기피하려는 주민들이 별로 없다”면서 “전에는 비판을 위주로 이뤄졌다면 최근에는 긍정적인 부분을 적극 장려하고 따라배워야 한다는 식으로 바뀐 것”이라고 전했다.

북한 주민들은 조직생활을 시작하는 만 8세부터 잘못에 대한 자아와 상호비판을 하는 ‘생활총화’에 의무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소년단과 김일성김정일주의청년동맹(청년동맹), 조선사회주의여성동맹(여맹), 직업총동맹(직맹), 조선농업근로자동맹(농근맹) 등 본인이 속한 조직에서 자신과 주변 지인들의 잘못을 비판해야 한다는 말이다.

즉, 돌아가면서 연단으로 나가 10대원칙(당의 유일적영도체계의 10대원칙)의 한 조항이나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교시’나 ‘말씀’을 인용한 후 이를 토대로 한 주간 자신의 잘못을 이야기해야 한다.

또한 잘못을 저지르게 된 원인과 개선하기 위한 방도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해야 한다. 특히 앞선 사람들의 잘못도 비판하고, 다른 사람의 질책도 받아들여야 한다. 이처럼 보복식의 상호 비판을 통해 그 누구도 신뢰하지 못하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이 같은 생활총화는 여러 가지 사회 부작용을 양산했다. 주민들 간 원한이 깊어졌고, 이로 인한 칼부림 사건이 발생하는 등 또 다른 복수를 양산하기도 했다. 특히 간부들끼리 서로 물고 뜯는 권력다툼으로 제대로 된 결속력을 이끌어 내기 어려운 환경이 조성되곤 했다.

이에 대해 소식통은 “주민통제를 위해 강화했던 생활총화가 좋지 않은 방향으로 흘러가자 긍정적인 부분을 강조하고 나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시장이 발달하면서 생활총화를 잘 참여하지 않으려는 주민들이 늘어나자 참가를 유도하기 위해 이 같은 방법을 쓴 것 같다”면서 “‘모범 창출’이라는 명목으로 충성심을 이끌어 내보겠다는 목적도 있어 보인다”고 덧붙였다.

한편 해외 파견 노동자들의 경우 ‘생활총화’에서 자유로워진 것으로 전해진다.

한 대북 소식통은 15일 “러시아에 파견된 근로자들은 생활총화에 참가하지 않아도 되는 등 통제와 규정에 얽매이지 않아도 된다”고 주장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최근 러시아나 중국 등 해외에 파견된 근로자들은 해당 조직으로부터 생활총화를 진행하기 보다는 한 시간이라도 나가 돈을 벌어오라는 지시를 받곤 한다. 사상무장을 강조하던 북한 당국이 자금 확보에 급급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경제학 전공 mjkang@uni-media.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