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해군사령부에 “서해 해상분계선 목숨 바쳐 사수” 지시

서해상 적대행위 금지구역(완충수역)에 관한 9.19 남북군사합의가 지난 1일 시행됐다. 인천시 옹진군 연평도에서 바라본 북한 개머리해안의 포진지가 닫혀 있다. / 사진 = 연합뉴스

북한이 지난 3일 새벽 서해 해상분계선을 목숨 바쳐 사수할 것을 해군사령부에 긴급 지시했다고 소식통이 알려왔다. 특히, 이번에 내려온 지시에는 북한 측이 정한 경계선을 침범하면 강력하게 반격하라는 내용도 담겨 있어 남북이 무력충돌을 예방하고자 완충수역을 설정(지난 1일 시행)한 것이 무색해지고 있다.

남북은 지난 9월 평양 공동선언과 함께 채택한 군사 분야 합의서에서 서해 NLL(북방한계선) 해상 일대에 평화 수역과 시범적 공동어로구역을 설정하기로 합의했다. NLL은 1953년 정전 직후 유엔사가 설정한 해상 경계선으로, 북한은 NLL을 인정하지 않고 보다 남쪽의 서해 경비계선까지를 자신들의 해역이라고 주장해왔다.

북한 내부 소식통은 12일 데일리NK와의 통화에서 “지난 3일 새벽 해군사령부 참모부에 ‘서해 해상 분계선을 철옹성 같이 지키라’는 긴급지시가 내려왔다”면서 “지시엔 그 어떤 적들의 해상침공도 즉시 단호히 짓부셔 버려야 한다는 내용이 담겨있다”고 말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이번 긴급지시에는 ‘언제 어느 때나 만반의 전투 동원태세를 갖추고 적들의 책동을 예리하게 주시하며 즉시 강력한 반격으로 대응해야 한다’, ‘우리 당과 군대는 서해 해상분계선과 우리 공화국의 자위적 국방력을 시험해보려는 자들에 대해서는 그 어떤 추호의 양보 없이 격퇴시켜야 한다는 것을 다시 한번 명령한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고 전했다.

북한의 이번 지시는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박한기 신임 합참의장에 대한 보직 신고식에 “분쟁의 수역이었던 NLL을 이제는 정말 명실상부하게 평화의 수역으로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굉장한 대전환이다”고 말한 것과 상당한 온도차이가 있다.

또한, 북한은 서해 해상분계선을 지키기 위해 인적, 물적 자원을 최대한 지원하는 등 실질인 준비도 더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소식통은 “적들의 해상침공에 대비하기 위해 전투함선들의 정비, 운영, 출항 상태에 대한 계획을 면밀하게 세우라는 지시가 내려왔다”며 “서해경비근무 함선용 연유(燃油)와 전투 장비 후방물자를 최우선적으로 보장한다는 내용도 담겨 있다”고 전했다.

이어, 소식통은 “해상전투 경험이 풍부하고 실지작전 판단과 지휘가 우수한 지휘 성원들을 함장, 편대장들로 우선 배치하라”며 “이를 위해 해군사령부 간부부와 김정숙해군대학 간부부 일군들은 협력하도록 하라”는 지시도 있다고 덧붙였다.

북한 당국은 남북평화 분위기에 따라 자칫 군 기강이 해이해질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강력한 지시를 내린 것으로 보인다.

소식통은 “사령부의 모든 일군들은 현재 조성된 현재 조성된 북남평화 분위기에 절대로 귀 기울이지 말아야 한다”며 “선열들의 피가 스며있고 전우들이 굳건히 지켜온 변함없는 우리의 서해 해상분계선을 목숨 바쳐 사수해야 한다”는 내용도 담겨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남북 간의 교류와 협력에 대한 논의가 한창 진행중이어서 우발 상황 발생시 실제 공격 가능성은 낮아보인다.

한편, 남북 간 서해 NLL 해상에 완충수역을 설정하면서 국방부가 최초 발표한 완충수역 길이가 실제와 다른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다.

국방부는 지난달 19일 배포한 보도한 자료를 통해 서해 완충수역 길이가 남측 40km, 북측 40km로 총 80km라고 밝혔으나, 일부 언론에서 실제 길이와 차이가 난다고 문제를 제기하자 남측 85km, 북측 50km라고 정정했다. 이에 대해 국방부는 “실무자의 실수”라며 오기를 인정했다.

또한, 우리 측 완충 수역이 북측보다 넓은 것으로 나타나면서 서해 해상 완충 수역 문제는 NLL 포기 논란으로까지 번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