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파견 북한 노동자들 꽁꽁 숨기고 제재 회피 방안 강구”

[노동자 전원 송환 D-6개월] 소식통 "훈춘선 무비자 노동자 그냥 눈감아 주기도"

지난 2월 중국 랴오닝성 단둥 해관(세관) 안 북한 여성들. /사진=데일리NK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 2397호가 명기하고 있는 북한 해외 노동자 송환 기한이 6개월 앞으로 다가오자 해외 파견 북한 노동자의 상당수가 체류 중인 중국 동북 지역 분위기가 얼어붙고 있다. 대북 제재 이행 여부에 대한 감시의 눈이 많아지자 북한 노동자에 대한 이동 통제와 감시가 강화된 것으로 확인된다.

중국의 대북 소식통은 2일 데일리NK와의 통화에서 이 같은 분위기를 전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북한 노동자들이 조(組)를 이뤄 공장 밖으로 나와 시장 구경도 하고 물건도 살 수 있었지만 지금은 공장과 기숙사만 오가며 감옥과 같은 생활을 하고 있다는 게 그의 전언이다.

소식통은 “훈춘(琿春)시에서 차로 15분 가량 떨어져 있는 개발구 외곽에 철책이 다 둘려있다”며 “북한 노동자들이 한번 들어가면 귀국할 때까지 밖에 나오질 못한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중국인 사장들과 공안 당국이 협조해 북한 노동자들이 거리를 다니지 못하도록 통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북한 노동자들이 중국 국경도시에서 자유롭게 체류 중인 모습이 외신에 의해 보도되면 대북제재 이행 여부에 대한 책임이 대두되기 때문에 중국 당국도 이를 민감하게 관리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그는 “지난 2016년 중국 내 북한 식당 여종업원 13명이 집단 탈북한 이후 북한 노동자들에 대한 규제가 시작되었는데 최근 이러한 통제가 더 심화됐다”고 덧붙였다.

이런 가운데 북한 노동자들의 송환 기한이 다가오자 북한 노동자를 고용하고 있는 중국 측 기업인들의 움직임도 바빠지고 있다. 물론 사업을 접거나 혹은 다른 인력으로 대체하려는 곳도 있지만, 북한 노동자들을 지속 고용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하려는 곳도 있다고 한다.

소식통은 “투먼(圖們)이나 훈춘 쪽에 있는 북한 노무자들 대표와 각 시에 있는 중국 관리들이 은밀하게 제재를 피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훈춘시에서는 북한 노무자(노동자)들의 사정을 많이 봐주는 편이다. 훈춘에만 북한 노무자들 6500명이 있다”면서 “신규 노무자 비자 발급이 안 되니까 최근에는 (북한 노동자들이) 무비자로 여권만 가지고 들어오기도 한다. 그런 경우 훈춘시에서 눈감아줄 수 있는 일은 그냥 넘어가 주기도 한다”고 지적했다.

무비자인 경우엔 중국에 한 달간 체류할 수 있다고 한다. 한 달간 일을 하고, 이후엔 북한에 들어가서 여권에 도장 찍고 다시 중국으로 나오는 형식이다. 이는 대북 제재로 ‘취업 비자’를 받을 수 없는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꼼수’다.

소식통은 “한 공장에 북한 사람들이 수백 명씩 있는 곳도 있다. 이런 경우 갱신하러 나갈 때는 수백 명이 쭉 늘어서서 북한에 들어가는데 정말 진기한 풍경이 펼쳐진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지금도 새로운 노무자들이 중국으로 나오고 있다”면서 “이 사람들은 거주증 없이 무비자로 들어오는 것인데 한 달에 한 번씩 북한을 오가는 게 힘들어도 돈을 벌 수 있으니까 온다. 지역에서 온 사람들도 있고 평양에서 오는 경우도 많다”고 소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