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실험 카드 만지작거리는 北, 中 눈치보나?… “보고 가능성 100%”

전문가 “中의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동참 막기 위해서라도 핵실험에 관해 사전 통보할 것”

북중정상회담
지난 2019년 6월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회담을 진행했을 때의 모습. / 사진=노동신문 캡처

북한 당국이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 복구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가운데, 북한이 7차 핵실험에 나선다면 중국에 사전고지할 것이라는 내외부 관측이 나오고 있다. 북한이 중국의 심기를 건드리지 않기 위해 나름의 조치를 취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18일 데일리NK 북한 내부 고위 소식통은 “2017년 6차를 제외하고 이전에는 모두 중국에 사전 통지를 했다”며 “이번에 핵시험을 하게 된다면 중국에 (사전) 보고할 가능성이 100%”라고 단언했다.

자세한 핵실험 과정과 내용은 밝히지 않겠지만 장소와 일시 등 간략한 정보를 중국 측에 전달할 것이라는 게 소식통의 설명이다.

북한의 7차 핵실험 장소로 거론되고 있는 함경북도 길주군과 평안북도 영변군은 모두 북-중 국경에서 100km 내에 있는 지역으로, 핵실험으로 인한 진동이 중국 본토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실제 지난 2017년 9월 3일 풍계리에서 진행된 6차 핵실험 때도 북한과 인접한 접경 지역인 중국 랴오닝(遼寧)성과 지린(吉林)성에 거주하는 중국 주민들은 건물과 집기가 흔들리는 지진 피해를 겪었고, 이에 자치성들이 북한의 핵실험으로 인한 인공 지진 피해 사실을 소상히 조사해 중국 당국에 보고하기도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익명을 요구한 해외의 북한 전문가는 본지와의 통화에서 “2017년 당시에는 김정은이 장성택을 처형하고, 장성택과 관련된 대중 라인 인사들을 잇달아 처단하면서 북중관계가 냉랭했던 때”라며 “때문에 북한이 6차 핵실험을 중국에 고지하지 않았지만 7차 핵실험 여부는 중국에 통보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더욱이 중국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차원의 대북제재에 동참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북한이 중국에 핵실험에 관해 사전 통보를 할 것이라고 이 전문가는 분석했다.

실제 2017년 북한의 6차 핵실험 이후 류제이 당시 유엔주재 중국대사는 유엔 안보리 회의에서 북한에 대해 “(북한의 핵실험을) 확고히 반대하고 강력히 규탄한다”며 엄중한 입장을 표했고, 중국은 북한에 대한 유류 공급 30% 감축, 대북 투자 및 합작사업 금지 등의 내용을 담은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 2375호에 동참했다.

또 중국은 2017년 11월 29일 이뤄진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에 대해서도 규탄하며 가장 강력한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로 평가되는 2397호에도 찬성표를 던졌다.

다만 중국은 미국과의 패권 경쟁 및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서방 국가들과의 갈등 현 국제정세 속에서 북한이 7차 핵실험에 나선다 해도 유엔 차원의 공동 대응에서 비협조적인 태도를 보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평가된다.

앞서 유엔 안보리는 지난달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 ‘화성-17형’ 시험 발사 문제를 두고 회의를 열었지만, 중국과 러시아의 반대로 결의안 채택이 무산됐고 의장성명도 내지 못했다.

특히 중국 측 북핵수석대표인 류샤오밍(劉曉明) 한반도사무특별대표는 최근 워싱턴을 방문해 웬디 셔먼 국무부 부장관, 커트 켐벨 백악관 인도·태평양 조정관 등 미국의 고위 당국자들과 만나 유엔 안보리 차원의 추가 대북 제재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류 특별대표는 지난 9일 트위터를 통해서도 “유엔 안보리는 한반도 문제의 정치적 해결을 위해 건설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며 “불에 기름을 붓는 대신, 긴장 완화와 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행동을 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북한에 대한 추가 제재보다는 외교적 협의나 대화로 문제를 풀어야 한다는 중국 정부의 입장을 표명한 것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