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세훈 국정원장 내정자가 용산 사태에 대한 행정안전부 장관 재임 당시 책임 문제와 관련, “(행안부) 장관 시절에 보고를 받지 못했고, (용산) 사태에 책임을 묻는 것은 맞지 않다”고 말했다.
원 내정자는 10일 국회 정보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치안 정책 부분의 구체적인 치안 업무는 경찰청장 업무이고, 행안부 장관은 지역별 구체적인 사안에서 지휘를 하지 않는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행안부에 직접적으로 경찰에 관여하는 부서가 없다”며 “경찰 측 인사도 행안부에서 관여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원 내정자는 “현장 재임 중에 이런 사태가 발생하여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앞으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잘 하겠다”고 답변했다.
원 내정자 부인과 누나 명의로 구입한 뒤 매도한 경기도 포천 땅 의혹에 대해 원 내정자는 “청문회를 준비하면서 처음 듣는 이야기”라며 “부인은 계약을 한 적도 없고, 전혀 관여를 하지 않았다”고 의혹을 부정했다.
이어 “국토 해양부가 관리하는 국가 전산 시스템을 한번 봐서 자료를 찾아보겠다”며 의혹을 확실히 풀 것임을 강조했다.
또한 원 내정자는 납북자 문제와 관련 “많은 사람들이 납북되어 있는 걸로 알고 있는데, 잘 조사할 것임을 국민들에게 약속드리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청문회에서 야당 의원들은 “전 김두관 장관도 한총련을 못 막았다는 이유로 해임이 되었던 적이 있다”며 “(행안부 장관이) 지휘 감독하는 지휘가 있기 때문에 해임 건의안을 통과시키고 해임이 된 것이다”고 원 내정자가 용산 사태에 대한 정치적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