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운, 후계자 징후 감지…김정일 건강, 집중 감시중”

이상희 국방부 장관은 “김정운의 후계자 지명에 대한 여러 가지 징후들이 입수되고 있으나, 후계자로 완전히 확정되었는가는 한미간에 보다 더 많은 첩보와 판단이 요구된다”고 30일 말했다.

이 장관은 이날 국회 국방위 전체회의에 출석해 북한 김정운의 북한군 장악 정도를 묻는 한나라당 김영우 의원의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이 장관은 또 김정일 건강 관련, “김정일의 정확한 건강상태는 판단이 제한되는 사항이다. 국정원도 제한된 첩보 속에서 얘기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최근 김정일 사진문제, 공개활동 문제 등을 고려, 군(軍도) 김정일 위원장의 건강 악화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집중 감시 중”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우라늄 농축 시설은 180~300평 규모로 지하나 지상 어디에나 세울 수 있어 플루토늄 재처리 시설과는 달리 은폐하기 쉬운 시설”이라며 “북한이 외무성 대변인을 통해 발표한 것과 같이 (우라늄 농축을) 추진하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국방부는 지난 16일 열렸던 한미정상회담 결과에 대해 “북핵 및 미사일 문제 해결에 대한 협력의지를 재확인하고, 확장억제를 포함해 미국의 공고한 방위공약을 명시하는 등 강력한 대북메시지 전달함으로써 우리 국민들의 안보불안을 해소했다”고 평가했다.

후속조치에 대해서는 “한반도 방위공약이 보다 구체화되도록 ‘확장억지력’을 관련 문서와 SCM(한미연례안보회의)에서 재확인하고, 미군 증원·보완전력 지원 보장 등을 MCM(군사위원회) 전략지침과 현재 작성중인 신(新)작전계획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방부는 북한 2차 핵실험에 따른 유엔 안보리 결의 1874호의 이행과 관련 “관련국들과 북한 무기 금수 관련 정보를 공유하고 제재 활동을 협력해 나갈 것”이라며 “화물 검색은 PSI(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구상) 후속조치와 연계해 병행 추진하는 등 미국을 비롯한 참가국들과 협조체제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