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日 외교장관, ‘先 남북대화 後 북일대화’ 재확인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과 마에하라 세이지 일본 외무상은 16일 북일 대화에 앞서 남북대화가 우선이라는 대북 기조를 재확인했다.


양국 외교장관은 이날 도쿄에서 열린 외교장관 회담 직후 가진 공동기자회견에서 6자회담 재개와 관련해 “남북간의 진정한 대화를 우선으로 다양한 양자접촉을 통해 올바른 6자회담 재개 여건을 조성해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또한 양국은 북한이 천안함 및 연평도 문제에 대해 진정한 태도를 보여야 하고 비핵화의 진정성을 구체적인 행동으로 보여줘야 한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마에하라 외상은 “작년 12월 한미일 외상회담에서 확인했듯이 대화를 위한 대화는 하지 않겠다”며 “만일 6자회담이 열리기 위해선 북한이 구체적인 행동을 보여야 한다”고 밝혔다.


마에하라 외상은 “어떤 진전이 있는 다음에 다른 프로세스를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남북대화가 진전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북한이 회담에 나와서 진전을 이룰 수 있다는 태도를 보이는 것이 중요하다”며 “한미일은 이에 대해 확고한 공감대를 갖고 있으며, 중국도 우리 입장을 잘 알고 있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이어 “우선 지난 남북 군사실무회담에서 우리 측이 유연성을 갖고 대했음에도 북한이 회담장을 박차고 나간 것에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우리는 열린 마음으로 본회담 개최의제와 수석대표의 급을 정하는 문제에 대해 논의할 것이며, 북한이 우리의 제의를 수용하면 회담은 재개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장관은 북한의 농축 우라늄 프로그램에 대해 “한일 양국은 북한 UEP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고 안보리를 비롯한 국제사회가 이에 대해 단호하게 대응하는 것이 필요하다는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밝혔다.


마에하라 외상도 “유엔 안보리 결의와 9.19 공동성명의 위반”이라며 “우라늄 농축에 대한 국제사회의 우려가 안보리를 포함한 적절한 장에서 표시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