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이번에는 근로단체들의 성명을 통해 남북관계 파탄의 책임을 남한으로 돌리며, 박근혜 대통령을 실명 비난했습니다. 북한은 툭하면 거수기에 불과한 단체들이 민주사회처럼 바른 소리를 하는 단체라고 포장하며 선전선동의 수단으로 활용해 왔습니다. 대남비난 성명을 낸 전국연합근로단체는 직맹, 농근맹, 여맹, 청년동맹 등 4개 단체로 구성됐습니다.
북한 인민들도 잘 아시겠지만 이들 단체들은 명칭만 노동자나 농민, 여성을 대변한다고 하지, 실지 조선노동당의 지도만을 따르는 외곽단체에 불과합니다. 즉 이들 단체는 북한 당국의 입장을 대변하는 앵무새와 같은 존재들입니다. 김정은 정권의 입장을 그대로 대변하는 이들 단체가 남북관계 파탄 책임을 남으로 돌리고 최근 한국에 개설된 북한인권사무소 등에 대해 비난한 속셈은 불 보듯 뻔합니다.
무엇보다 이들이 주장한 내용들을 보면 어처구니없기 짝이 없습니다. 그동안 남한 정부는 북한이 대화에 나서서 이산가족상봉 문제와 대북 인도적 지원 등을 논의하자고 제의해왔습니다. 최근에는 박근혜 대통령이 조국해방 70주년을 맞아 북한에 대화제의를 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북한은 이에 묵묵부답이었습니다. 남한정부의 대화제의를 무시하면서 경색된 남북관계 책임이 남측에 있다고 하는 것은 적반하장입니다. 유엔이 주도해 남한에 개설한 북한인권사무소에 대한 이들 단체들의 비난도 남북관계와 상관없는 사안을 연계시켜 남한을 압박하려는 정치적 의도가 있는 것으로 읽혀집니다.
북한은 지난달 6·15 공동선언 15돌을 맞아 대화와 협상에 나설 의향을 내비쳤습니다. 이래놓고선 남한의 대화제의가 진정성이 없는 기만이라며 악담을 퍼붓고 있습니다. 김정은이 진정 대화할 의향이 있다면 대화의 장에 나와야 합니다. 만나지도 않고 남한의 대화제의를 기만이라고 주장하는 것이야말로 불순하기 짝이 없습니다. 특히 김정은에 대한 국제사회의 비판에 대해 최고지도자 존엄을 모욕했다며 발끈하면서 정작 남한의 박근혜 대통령에 대해선 실명 비난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자가당착 행태가 바뀌지 않는 이상 남북관계 개선은 어렵다는 것을 김정은 스스로 깨달아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