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이 남긴 가슴아픈 역사 보여주고 싶어

그해 겨울 아빠와 엄마, 남동생이 차례로 죽었다. 관(棺) 조차 없이 소달구지에 실려 가는 아빠와 엄마, 남동생을 멍하니 바라보면서도 기력이 없어서 울지도 못했다. 바로 옆집에 살던 가족은 젖먹이 어린 아기까지 온 집식구들이 다 죽었다.

1995년 김정일의 생일이 며칠 지난 어느 날 아침, 리 당비서 아저씨가 옥수수 가루와 옥수수 10kg 정도 가지고 우리 집에 나타났다. 쓰러져 있는 우리 입에 따뜻한 미숫가루 물을 떠 넣어주며 우리에게 마을을 떠나라고 하는 것이었다.

“빌어먹을 곳도 없는 이곳에 이대로 있다가는 너희들마저 다 죽는다. 그러니 동생을 데리고 풀이 날 때까지 만이라도 시내(혜산시)에 나가 보거라. 사람이 많은 곳에 가면 빌어먹기라도 할 수 있겠지….”

예순이 넘은 리 당비서의 눈에서 굵은 눈물이 주르르 흐르고 담뱃대를 쥔 손이 부들부들 떨리고 있었다. 그러면서 그는 품속에서 비닐에 꽁꽁 싼 무엇인가를 내놓았다. 아편이었다.

“혹시 너희들이 앓아도…. 그래, 지금은 약이 없으니 이것을 잘 보관했다가 필요할 때 쓰 거라.” 나는 지금도 리 당비서 아저씨가 약 대신에 아편을 주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렇게 생각하기엔 너무 많은 양이었다. 당시에는 아편 거래가 공공연히 이루어지고 있는 때여서 아편이 곧 돈이었다.

꽃제비 생활, 그리고 탈출

그렇게 우리는 마을을 떠나 혜산시까지 갔다. 나는 오빠와 함께 꽃제비들 무리에 들어가 혜산시 춘동에 위치한 통신기계공장이라는 버려진 건물에서 살았다.

1995년 4월, 오빠가 열이 몹시 나면서 앓다가 숨졌다. 나는 울지도 않았다. 슬프다는 생각보다 나의 보호자가 없어졌다는 공포감만 들었을 뿐이다. 남자 꽃제비 아이들이 오빠를 묻어주었는데 나는 무서워서 따라가지도 못했다.

여기에서 잠깐 꽃제비들에 대해 이야기 하고 싶다.

우리는 오빠까지 모두 8명이었는데 그 중 여자는 나와 13살짜리 신경림이라는 애가 있었다. 비록 세수도 못하고, 다 해지고, 이가 득실거리는 옷을 입고 있어도 꽃제비들에게는 그들만의 엄격한 규율과 질서가 있다.

꽃제비들도 그 무리의 대장이 있고 자기들이 빌어먹는 구역이 있다. 또한 훔치거나 구걸하여 얻은 음식물을 절대로 혼자서 먹지 않고 함께 나누어 먹는다.

꽃제비들은 겨울에 잠을 잘 때도 제일 어린 아이들과 약한 자들, 그리고 여자들을 가운데 앉히고 좀 건강한 사람들이 바람을 막으며 주변에서 잔다. 많은 사람들이 꽃제비 무리 속에 있는 여자들에 대해 이상하게 생각할지 모르지만, 그들에게도 여자 아이는 특별히 배려하고 보호하는 규칙이 있다. 이런 규칙을 무시한다면 무리에서 쫓겨나며 심한 경우에는 죽음까지 각오해야 한다.

1995년 가을, 양강도의 추운 겨울 때문에 함께 있던 여자애인 경림이와 다른 두 명은 함흥 쪽으로 떠났다. 나와 다른 세 명의 남자애들은 떠나지 않았다. 우리는 그때 겨울이 오고 강이 얼어붙으면 중국으로 가자고 약속해 놓고 있었다.

1995년 12월, 설날을 며칠 앞두고 우리는 압록강을 건너 중국 창바이(長白)현으로 탈출했다. 우리는 창바이에서 모두 헤어졌다. 봄이 되면 다시 압록강을 건너가 통신기계공장 건물에서에서 만나기로 했다.

나는 꽃제비들 중에서도 기적처럼 운수 좋은 꽃제비였다. 일행과 헤어진 뒤 내가 무작정 뛰어든 집은 50대 부부가 사는 집이었는데 자식들은 모두 돈을 벌려고 큰 도시로 떠나고 없었다. 그 집에서 옷을 갈아입고 목욕도 하고 며칠간 살았다. 마음이 좋은 사람들이었는데 공안의 검색 때문에 늘 불안해했고, 그것 때문에 나도 미안했다.

하루는 그들이 어느 곳인가에 전화를 하더니 나에게 좋은 곳으로 가자고 했다. 먼 친척집인데 그곳에 가면 마음 놓고 편하게 살 수 있다는 것이었다. 몹시 불안했으나 어쩔 수 없는 몸이었다. 그들과 함께 버스를 타고 옌지(延吉)에 도착했고, 다시 기차를 타고 온 곳이 지금 살고 있는 헤이룽장성(黑龍江省) 하얼빈(哈爾濱)이다.

솔직히 말하면 그들은 나를 얼마의 돈을 받고 팔아넘긴 것이나 다름없다. 하지만 나는 지금도 그들을 원망하지 않는다. 그들은 나를 진정으로 도와주었던 사람들이다. 어쩔 수 없는 조건에서, 그래도 믿을 수 있는 친척들에게 나를 맡겼기 때문이다.

내가 간 집은 경제적으로도 여유가 있고, 시아버님, 시어머님들이 모두 아주 좋은 분들이다. 무엇보다 조선족이니 말이 잘 통했고 어머님이 나를 무척 귀여워했다. 밖에 나갈 때면 늘 나를 데리고 다녀야 마음을 놓인다고 하셨다. 나는 그곳에서 중국어 공부도 했고 1998년 지금의 남편과 결혼을 했다.

남편은 무척 자상하고 착한 사람이어서 지금도 남편에게 감사하며 행복하게 살고 있다. 나는 한 해에 한 번씩은 압록강이나 두만강 쪽으로 여행을 한다. 그런 나의 심정을 남편도 잘 알고 이해해 준다. 단 한 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면 처녀시절이 무엇인지도 모르고 아이 엄마가 되었다는 것뿐이다.

압록강변에 서면 나의 아버지와 어머니, 그리고 오빠와 동생이 그리워 목 놓아 운다. 나는 나의 아버지와 어머니, 그리고 내 오빠가 묻힌 곳을 모른다. 나중에 통일이 되어도 나의 오빠가 묻힌 곳만은 영원히 알 수 없을 것이다.

사회주의라는 역사가 남긴 피눈물의 상처를 가슴에 묻고, 통일이 되는 그 날에는 꼭 남편과 함께 고향에 갈 것이다. 나의 남편과 내 자식들에게 김정일 정권이 남긴 가슴 아픈 역사를 보여주고 싶다. 그리고 사랑하는 사람들, 우리 가정을 지켜주려고 그렇게 애쓰시던 리 당비서 아저씨를 꼭 찾아 아버지로 모시고 싶다. 두고두고 은혜를 갚고 싶다.

한순희(가명, 양강도 보천군 청림리 1995년 탈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