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주민들이 심각한 수준의 결핵 위험에 있으며 다 약제 내성 변종(multi drug-resistant strains)으로 인하여 심각한 위기가 발생할 수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블룸버그통신 비즈니스위크는 11일(현지시간) “북한이 치명적인 결핵 발생률이 가장 높은 국가 중 하나다”며 “의사들은 다중 약물 내성으로 결핵의 폭발이 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고 보도했다.
매체는 이어 “일반적인 약으로 치료할 수 없는 감염이 이미 북한 전역에서 발생하고 있다”며 “WHO 추산에 의하면 2016년 북한의 13만 건의 결핵 감염 중 5천 7백 건이 리팜피신 항생제에 내성을 지닌 세균또는 최소한 2가지 다른 주요 결핵약에 의해서 발생됐다”고 우려했다.
또한, “다제내성결핵(MDR-TB)의 치료는 일반적으로 2년 이상 지속하며 6개월 동안 주사와 약이 필요하다”며 “북한과 같이 자원이 부족한 국가에서는 이 같은 치료가 거의 불가능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북한의 결핵 관리에 가장 큰 재정적 기여를 한 국제 비영리 단체가 지원 중단을 예고, 북한 주민들의 결핵 치료가 더 어려워 질 것으로 보인다.
북한에 결핵 및 말라리아 치료제 등을 지원하는 국제 비영리 단체 결핵 및 말라리아 에이즈, 결핵 및 말라리아 퇴치를 위한 세계 기금 (Global Fund for Fight AIDS, Tuberculosis and Malaria, 세계기금)은 “자원 배치와 지원의 효율성에 대한 보장 및 위험성 관리가 요구되는 수준에 미치지 못하다”며 오는 6월 30일에 지원을 중단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또한, 제니퍼 퓨린(Gennifer Furin) 하버드대 의사는 해당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북한에 지원을 중단하면 북한 결핵 관리 및 통제에 훼손이 올 것”이라며 “부적절한 약에 의존한 치료법으로 인해 약물에 대한 저항을 가속화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승권준 유진벨 재단 메티컬 디렉터도 “다제내성결핵 문제는 북한에 수십 년간 영향을 줄 수 있다”며 “이는 중국과 한국과 같이 북한과 국경이 맞닿은 지역의 공중보건에도 악영향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