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무부는 15일 북한이 핵 ‘검증의정서’에 동의하지 않으면 앞으로 중유지원을 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것을 러시아를 비롯한 6자회담 참가국들이 합의한 사항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미국의 ‘검증체계가 없으면 중유지원도 없다’는 주장에 대해 러시아가 ‘합의대로 불능화가 진행되는 한 중유지원도 계속될 것’이라며 상반된 입장을 보이고, 경제·에너지지원 실무그룹 의장국인 한국도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여 혼란이 일자 진화에 나선 셈이다.
로버트 우드 국무부 부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이 문제(중유지원)에 대해 다른 4개국 대표들과 논의했으며 검증의정서 합의가 없으면 미래의 에너지 선적을 진행하기 힘들 것이라고 생각한다”면서 “우리는 그 조건에 같은 의견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러시아도 북한이 약속을 이행하지 못하면 북한에 대한 약속을 지키기 위해 앞으로 나아가기가 어려울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우드 부대변인은 한국과의 공조 여부에 대해 “분명히 한국 정부와 공동보조(in sync)한 것”이라고 말했고, 이날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도 한 인터뷰에서 “미국과 한국은 전적으로 동의했다”고 말한 바 있다.
우드 부대변인은 다만 “공식적으로 합의한 문서를 이야기한다면 없었다”면서도 “검증의정서에 대한 합의가 없으면 연료 선적약속을 이행하는 것은 상상하기 힘들다는 이해가 논의과정에서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핵 ‘검증의정서’ 합의와 중유지원을 연계해 추진할 것임을 재차 강조하면서 “이것은 우리가 행동 대 행동의 원칙에 따라 진행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북한이 나머지 참가국이 모두 동의한 핵검증의정서에 동의하지 않아 6자회담이 곤경에 처해 있다”고 지적하고 “이런 난국이 타개되기 전까지는 선적 문제에서 앞으로 진전이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이 중유지원 중단을 이유로 남아 있는 불능화를 중지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우드 부대변인은 “북한이 앞으로 어떤 조치를 취할지에 대해 추측하지 않겠다”면서 “북한이 불능화 작업을 현재도 지속하고 있다”고 답했다.
앞서 러시아 6자회담 수석대표인 알렉세이 보로다브킨 외무차관은 지난 13일 북한에 대한 중유지원 중단합의설을 강력히 부인한 바 있다.
브로다브킨 외무차관은 “북한의 핵검증체제가 마련될 때까지 일본, 러시아, 중국, 미국, 한국이 북한에 중유선적을 더는 하지 않기로 했다는 미국 정부의 발표에 우리는 놀랐다”면서 “그런 조치에 러시아 대표단은 결코 동의한 적이 없다”고 밝혔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