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길주군 피폭의심 탈북민 4명…핵실험 영향 단정 못해”

통일부가 27일 북한 풍계리 핵실험장 인근에 거주했던 탈북민 30명을 대상으로 방사선 피폭검사를 실시한 결과 2명에게서 피폭 가능성을 추정할 수 있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고 전했다. 다만 교란변수 등에 대한 조사 한계로 핵실험의 영향으로 단정할 수는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날 통일부는 이같은 내용을 포함한 이번 검사가 길주군 출신 일부 탈북민의 방사선 피폭을 의심할 수 있으나 연령, 흡연력 등 여러 교란변수로 인해 시기와 원인을 단정할 수 없다고 이같이 전했다.

이번 검사는 1차 핵실험이 있던 2006년 10월 이후 탈북한 함경북도 길주군 출신 탈북민 114명 중 남성 4명과 여성 26명 등 총 30명을 대상으로 10월 24일부터 12월 16일 사이 실시했다. 시기별로는 2006년 10월~2009년 4월 7명, 2009년 5월~2013년 1월 16명, 2013년 2월~2015년 12월 7명이다.

이번 검사는 한국원자력의학원에 의뢰해 ▲전신계수기 ▲소변시료분석 ▲안정형 염색체이상분석 ▲불안정형 염색체이상분석 등 4가지 방법으로 이뤄졌다. 이 중 4명이 ‘안정형 염색체이상분석 검사’에서 최소 검출한계인 0.25 그레이 (Gy)를 넘는 수치를 보였다.

4명 중 2명은 방사선 피폭도 원인일 수 있지만 북한에서의 거주환경이나 고령의 연령, 장기간 흡연 등의 영향을 배제할 수 없다고 통일부는 전했다.

또한 4명은 ‘안정형’보다 민감도가 높은 ‘불안정형 염색체이상분석’ 결과에서 모두 최소검출한계(0.1 그레이) 미만의 수치를 보였다. 불안정형 염색체이상분석은 최근 3~6개월 이내에 0.1㏉ 이상의 방사선 피폭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다.

이외에도 전신계수기 검사와 소변 시료 분석 검사에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오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 같은 결과에 통일부는 원인을 특정하기엔 검사 사례수가 충분하지 못하고, 교란변수를 파악할 수 있는 정보가 부족했다는 점을 지적했다. 30명 모두 탈북 시기가 2016년 1월 4차 핵실험 이전이라 장기간이 경과했다는 점 때문이다.

이어 길주군 출신 전체 탈북민중 일부 희망자만 검사에 응했으며, 4차 핵실험 이후 입국한 길주군 출신 탈북민은 없는 점 등 검사 대상 선정상의 한계도 존재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통일부는 방사선 피폭 의심 탈북민에게 주기적 건강검진 권고하면서 탈북 시기와 지역을 고려해 추가 피폭검사를 추진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