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정현 <평택미군기지확장저지 범대위> 대표는 평택 미군기지 이전을 반대하는 시위대가 철조망을 끊고 들어가 군인을 폭행한 사건에 대해 ‘시민들에게 저항할 권리가 있다’며 적극 옹호해 논란이 예상된다.
9일 KBS라디오 한 시사프로그램에 출연한 문 대표는 “5.18광주 사태도 다 법의 이름으로 했다”면서 “그러나 시간이 흘러 진실이 규명돼 지금은 민주화 운동 유공자로 인정받고 있다”며 평택시위와 광주항쟁을 동일시하며 군인 폭행을 정당화 했다.
‘대다수 국민들이 폭력시위를 반대하고 있다’고 사회자가 전하자 그는 “큰 공안 사건마다 우리 주장에 반하는 분들이 우리 앞길을 가로막고 있다”며 “아마 이번도 그것에서 벗어나지 않으리라고 생각한다”고 대답했다.
그는 “행정대집행 자체가 법을 빌린 아주 무리한 작전이었다”며 “지난 4일 행정대집행은 이 나라가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마치 적국을 대하는 것 같았다”면서 “전국에서 모인 1천5백 명의 대열은 정말 흥분할 수밖에 없었다”며 폭력시위의 책임을 정부로 떠넘겼다.
“시위대의 폭력행사는 정부가 빌미 제공한 것”
이어 문 대표는 “범대위는 시작부터 끝까지 ‘평화’ 기조”라고 주장하자 사회자가 “군인들을 폭행했는데 ‘평화’라고 하는 것은 이해하기 어려울 것 같다”고 되묻자, 그는 또 “항상 폭력이라는 빌미를 주는 것은 정부”라는 말로 책임을 회피했다.
검찰이 평택시위 핵심 지도부에 대한 강제 소환계획을 세운 것과 관련해 그는 “지도부가 지금 일부러 피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며 그러나 “스스로 수사에 협조할 생각은 없다”고 밝혔다.
한편, 문 대표는 “5.18계승 행사를 대추리에서 한다”고 밝히면서 “13일엔 모여서 인간 띠 잇기 행사를 하고, 14일에는 범국민대회를 연다”고 말해 다시금 정부와의 충돌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박영천 기자 pyc@dailynk.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