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의장국인 베트남이 23일 천안함 사건에 대한 ‘깊은 우려’를 표명하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의장성명을 지지한다는 내용의 초안을 마련, 남북한과 문안협상을 진행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초안에는 이번 사건을 ‘공격(attack)’으로 규정하는 내용과 북한을 ‘규탄'(condemnation)이 제외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연합뉴스에 의하면 천안함 사건을 언급한 초안 성명 8항에서 “한국의 천안함 침몰 사건에 대한 깊은 우려와 함께 한국 정부와 국민들에게 애도를 표하고 이번 사건에 대한 한국 정부의 자제력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이어 “ARF 장관들은 한반도와 동북아 지역에서 평화와 안전 유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관련 당사국들이 평화적 수단에 의해 모든 분쟁을 해결하도록 촉구한다”며 “이런 맥락에서 우리는 지난 9일 발표된 유엔 안보리 의장성명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앞서 아세안 외교장관 회의(AMM)와 아세안+3(한·중·일) 외교장관 회의는 천안함 사건을 “개탄한다”는 강도높은 표현을 사용했다.
이와 관련, 아세안+3(한·중·일)은 22일 천안함 사태와 관련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채택한 의장성명을 지지한다는 성명을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했다. 성명에는 북한의 책임을 구체적으로 명시하는 내용은 포함되지 않았다.
성명 초안 9항에서 북핵 문제와 6자회담 문제를 언급, “완전하고 검증가능한 한반도 비핵화에 대한 지지를 재확인했고 당사국들이 적절한 시기에 6자회담에 복귀할 것을 권고한다”고 밝혔다. 이어 “관련 유엔 안보리 결의안의 완전한 이행의 필요성을 강조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초안은 10항에서 국제사회의 인도적 관심사안에 대한 대처가 중요하다는 내용을 포함시켰다.
외교소식통은 “현재 초안을 놓고 관련국간 집중적인 협의가 진행되는 만큼 문구 수정이나 내용의 변화 등이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북한 외무성의 리동일 군축과장은 이날 “미국의 적대행위시에는 물리적 대응을 하겠다”면서 “천안함 사건의 진상이 아직 밝혀지지 않은 상황에서 천안함에 대한 북한 책임을 주장하는 것은 용납하지 못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