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31일 베이징에서 열린 중국.미국과의 비공식 회담에서 6자회담에 복귀하기로 전격 합의했다.
2002년 10월 제임스 켈리 미국 특사의 방북을 계기로 불거진 제2차 북핵위기 이후 주요 과정을 일지로 정리했다.
◇2002년
▲10.3 = 제임스 켈리 특사 등 미국 대표단 8명 북한 방문
▲10.17 = 미, “북한 핵무기 개발계획 추진” 발표
▲10.23 = 남북 제8차 장관급회담 공동보도문에서 “핵 문제를 비롯한 모든 문제를 대화의 방법으로 해결하도록 적극 협력하기로 한다”고 명시
▲10.25 = 북, 외무성 대변인 담화 통해 북-미간 불가침조약 체결 제의
▲11.15 =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 집행이사회, 12월분부터 북ㆍ미 기본합의문에 따른 대북 중유지원 중단 결정
▲12.12 = 북, 핵동결 해제 선언
▲12.21 = 북, 핵시설 봉인과 감시 카메라 제거 등 핵동결 해제 조치 개시
▲12.31 = 부시 미 대통령, 북핵 문제 외교적 방법으로 평화적 해결 천명
◇2003년
▲1.6 = 국제원자력기구(IAEA) 특별이사회, 북한의 핵동결 해제 원상회복 촉구 결의안 채택
▲1.10 = 북, 정부성명 통해 핵무기비확산조약(NPT) 탈퇴 선언
▲2.12 = IAEA 특별이사회, 북핵문제 안보리 보고 결의안 채택
▲4.23∼25 = 북.미.중, 베이징에서 3자회담 개최
▲8.27∼29 = 제1차 6자회담 베이징에서 개최
▲10.2 = 북, 폐연료봉 재처리 완료 및 핵억제력 강화 방향으로 용도 변경 가능성 경고
▲10.20 = 부시 대통령, 다자틀 내 대북 안전보장 제의
▲10.25 = 북 “부시 ’불가침 담보’ 발언 고려 용의 있다”
▲11.21 = KEDO, 대북 경수로사업 12월 1일부터 1년 동안 중단 결정
▲12.9 = 북, ‘1단계 동시일괄타결’ 제의
◇2004년
▲2.25∼28 = 제2차 6자회담 베이징에서 개최
▲4.7∼8 = 한.미.일 3자협의, ‘북한의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돌이킬 수 없는 핵폐기(CVID)’ 재확인
▲5.22 = 북ㆍ일 정상회담 평양서 개최
▲6.23∼26 = 제3차 6자회담(베이징)
▲7.24 = 북 “미국이 3차회담에서 내놓은 제안은 리비아식 선(先) 핵포기 방식이어서 논의가치 없다. 미 보상 참가가 핵문제 해결 열쇠”
◇2005년
▲2.10 = 북, 핵무기 보유 선언
▲3.2 = 북, 조선중앙통신 통해 ‘부시2기 정부가 성의를 보이고 행동해 6자회담이 개최될 수 있는 조건과 명분을 마련할 경우 언제든지 6자회담에 나 가겠다’는 요지의 외무성 비망록 발표
▲3.31 = 북 “6자회담은 군축회담 돼야”
▲5.11 = 북, 영변 5MW 원자로에서 폐연료봉 8천개 인출 완료 발표
▲6.21∼24 = 남북장관급회담. 핵문제를 대화의 방법으로 평화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실질적 조치를 취해 나가기로 합의
▲9.13∼19 = 2단계 제4차 6자회담.
북의 ’모든 핵무기와 현존 핵계획 포기’ 등 6개항 공동성명 채택
▲11.9∼11 = 1단계 제5차 6자회담.
’공약 대 공약’ ’행동 대 행동’ 원칙에 따라 공동성명 이행 등을
내용으로 한 의장성명 채택
▲12월 = 정부, 북미 양측의 대결 구도를 완화하기 위해 제주도서 6자회담 수석대표들간 비공식 회담 제의. 북측 거부로 무산
◇2006년
▲1.18 = 북.미.중 6자회담 수석대표 베이징서 회동.
북, “선(先) 금융제재 해제” 요구, 美측 기존 입장 고수.
▲3.7 = 북미, 금융문제 논의 위한 ‘실무적 접촉’.
북, 위폐문제 해결을 위한 정보교류와 합동협의기구 설치를 제안
했지만 미, “불법행위는 협상대상이 아니다”고 거부.
▲6.1 = 북 외무성, 미국측 6자회담 수석대표를 초청했으나 미측 거부.
▲7.5 = 북, 미사일 발사.
▲7.16 = UN 안보리 결의 1695호 만장일치로 통과. 북측은 즉각 거부.
▲7.28 =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계기로 한.미.중.러.일 등 6자회담 참
가 5개국에 호주, 뉴질랜드, 캐나다,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
이 참여한 ’10자 외교장관 회동’ 개최.
▲8.1 = ARF, 북한 미사일발사에 대한 국제사회 우려 담은 의장성명 채택.
▲8.18 = 미 ABC방송, 정보당국을 인용해 북한의 지하핵실험 준비설 제기.
▲9.9 = 중국 등 세계 24개 금융기관 대북 거래 중단.
▲10.3 = 북한, 핵실험 계획 발표
▲10.6 = 유엔 안보리, 북한 핵실험 포기촉구 의장성명 발표
▲10.9 = 북한, 핵실험 실시
▲10.15 = 유엔 안보리 헌장 7조의거 대북한 제재결의 가결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