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문제에 대한 민노당의 시각은 여전히 변하지 않았다.”
진보신당 서울시당의 한 대의원은 5일 데일리NK와 통화에서 민주노동당과의 통합이 무산된 데는 종북(從北)주의를 둘러싼 갈등이 주요하게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2006년 ‘일심회’ 간첩단 사건을 계기로 민노당 내 종북주의 세력과의 결별을 선언한 진보신당 당원들로써는 북한 문제에 태도 변화를 보이지 않는 민노당과의 재결합은 납득할 수 없는 일이었다.
이 대의원은 “지난해 연평도 문제와 북한의 3대 세습 문제가 핵심 문제였다”며 “(민노당이) 북한의 잘못된 행동에 대해서는 아니라고 얘기해야 하는데, 여전히 북한문제에 대한 시각이 변하지 않았음을 확인하는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고 설명했다.
조승수 진보신당 대표가 “통합진보정당을 내년 총선까지 결정되지 않으면 총선에 나가지 않겠다”는 초강수를 던졌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대의원들은 ‘종북’ 성향의 민노당과는 같이 갈 수 없다는 분명한 의사를 밝혔다.
진보신당 내 뿐만 아니라 사회 일각에서도 민노당의 ‘종북주의’ 노선이 더이상 한국 사회의 진보 운동을 이끌어서는 안된다는 비판적 여론이 높다. 주사파 운동권 출신인 최홍재 시대정신 상근이사는 지난 1일 오전 여의도 진보신당 당사 앞에서 민노당과의 통합을 반대하는 일천배를 드리기도 했다.
이 외에도 진보신당의 또 다른 관계자는 민노당의 과거 패권주의적 당 운영도 부결 원인의 하나로 작용했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대의원들도 민노당과 통합하게 되면 10:1의 싸움 양상이 될 것이고, 그렇다면 다 죽는다는 것을 알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자기 입지를 확충하기는 어렵다는 판단이 있었던 것 같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민노당은 이념적으로 감화(感化)가 있어야 하는데 그런 것이 없다”고 지적했다.
통합을 둘러싼 또 다른 쟁점은 진보통합정당 건설 후 국민참여당의 참여 문제였다. 조 대표는 당 내 분위기를 의식해 “국민참여당은 통합의 대상이 아닌 연대의 대상”이라고 호소했지만 이미 대의원들 사이에서는 민노당과의 통합 후 ‘결국 국참당과도 통합으로 가는 것이 아니냐’며 지도부의 협상과정에 대해 의구심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조 대표는 6일 오전 국회 기자회견장에서 “새로운 진보정당 건설을 공약하고 추진했던 당사자로서 결국 진보대통합을 이루지 못한 데 대한 책임을 지겠다”며 대표직 사퇴의사를 밝혔다.
진보신당 측은 당의 진로에 대한 논의가 이번 주 내 이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민주노동당과의 통합을 원하는 당원들의 탈당이 잇따를 것으로 보여 한동안 당내 진통이 예상된다.
민주노동당은 진보신당에서 탈당한 당원들을 흡수하고 국민참여당과의 합당 논의에 속도를 높일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