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새정치민주연합 창당준비위원회 공동위원장은 19일 전날 신당 정강·정책 분과위에서 ‘6·15선언’과 ’10·4선언’에 대한 삭제 논란이 일자 긴급 진화에 나섰다.
안 위원장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6·15남북공동선언과 10·4남북정상선언의 정신은 우리가 발전적으로 계승해야 할 소중한 가치”라며 전날 두 선언을 삭제하자는 새정치연합의 주장을 하루만에 철회했다.
안 위원장은 이어 “저는 대선 전부터 6·15, 10·4선언의 정신은 우리가 발전적으로 계승해야 할 소중한 가치로 누차 천명해 왔으며, 새정치연합의 정신 역시 그래야 한다고 믿는다”면서 “새정치연합이 정강·정책 전문에 ‘6·15, 10·4선언에 대해 삭제를 요청했다’는 보도가 있었는데 사실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4·19혁명과 5·18광주민주화운동은 명확한 역사의 평가가 내려진 한국 현대사의 성과이자 이정표다. 6·15와 10·4선언 역시 마찬가지”라며 “그럼에도 이 같은 논란이 빚어진 데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한다. 최종적으로 마무리될 정강, 정책의 내용을 지켜봐 주길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
안 위원장이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밝힌 내용과 달리 전날 신당 정강·정책 분과위에서 새정치연합 측은 “원래 취지와 무관하게 6·15, 10·4선언이 보수와 진보의 이념 논쟁 대상이 돼버렸다”며 신당 강령에 두 선언을 포함하지 말자고 민주당에 요구했다.
안 위원장 측이 정강·정책 분과위에서 6·15, 10·4선언을 빼자고 주장한 것은 이념 논쟁의 대상인 두 선언을 강령에 포함시킬 경우 중도 및 보수층으로 지지세력을 확장하기 어렵다고 판단했기 때문인 것으로 관측된다.
이 같은 안 위원장 측의 요구에 대해 민주당 측은 “두 남북 선언은 민주당의 정체성과 관련된 사안으로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고 맞섰다. 두 선언 삭제 요구에 민주당은 물론 좌파 시민단체들의 반발이 거세지자 안 위원장이 직접 사태수습에 나선 것이다.
하지만 안 위원장은 이날 보도자료에서 6·15와 10·4선언을 정강정책에 포함시키겠다라는 명시적인 약속은 하지 않았다.
안 위원장의 이번 입장표명으로 논란은 진정국면으로 접어들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통일안보 정책과 관련해서도 민주당의 기존 강령에는 ‘통일·외교·안보’로 ‘통일’을 최우선순위에 배치한 반면 새정치연합의 초안에는 ‘안보·외교·통일’ 순으로 ‘안보’를 우선순위에 둬 갈등의 불씨는 여전히 남아 있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