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선규 대통령 당선인 대변인은 12일 “당선인은 남북관계를 대화를 통해 풀어가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가지고 있다. 그런 의지 한편에는 어떤 경우에도 북한의 핵을 용납하지 않겠다. 북한이 무모한 도발을 할 경우 단호하게 대응하겠다는 입장도 분명히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박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보도를 보면 북한에서 13일부터 20일 사이에 핵실험을 할 것 같다는 징후가 드러난다는 보도가 여러 군데서 나오고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박 대변인은 “북한이 진정으로 남북관계의 개선을 원한다면 무모한 핵실험 계획을 즉각 중단해야 할 것”이라며 “민족적 관점에서, 세계 평화적 관점에서 진정으로 남북관계를 풀려고 노력하고 있는 박 당선인의 진심을 이해하고, 박 당선인이 제시한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에 호응하는 모습을 보여주시기를 부탁드린다”고 했다.
박 대변인의 이 논평은 중앙일보의 ‘북한 13~20일 핵실험 강행 첩보’ 보도에 대한 반응으로 보인다.
12일 중앙일보는 ‘정부 당국자’를 인용해 “베이징의 북한 관리가 최근 중국 측 인사에게 오는 13~20일 핵실험을 실시할 예정이란 언급을 한 정황이 포착됐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대통령 당선인 대변인이 한 일간지의 보도만 갖고 논평을 내는 것이 적절한지에 대한 지적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 차원에서 북한의 3차 핵실험과 관련된 징후 확인도 없으며, 이 일간지의 보도처럼 중국이 북한 핵실험 등과 관련한 주요 현안에 대해 우리 정부에 사전 통보를 해준 사례도 없기 때문이다.
특히 지난해 12월 ‘은하 3호’ 발사 성공을 통해 사실상 대륙간탄도미사일 능력을 과시한 북한이 3차 핵실험을 서두를 만한 동기도 충분치 않은 상황이다.
박 대변인의 논평은 오히려 그동안 지적돼왔던 새 정부의 ‘외교안보라인’에 대한 불안감을 뒷받침하는 사례가 아닌지 걱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