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영호 숙청은 장성택·최룡해 합작품”

정부 관계자는 17일 리영호 북한군 총참모장의 전격 해임 배경에 대해 “김정은 체제의 권력기반 강화를 목적으로 한 정치적 숙청사건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리영호가 자신의 직위를 이용해 타 부처 업무에 간섭하는 등 내부갈등을 야기시키고, 군 인사·통제권을 두고 최룡해와 마찰을 빚자 김정은이 해임이라는 강수를 둔 것”이라며 이같이 관측했다.


이어 “정통 당관료인 최룡해의 총정국장 임명을 필두로 軍 외화벌이 기구의 내각 이관, 김정은의 군부대 방문 감소 등에서 ‘군부 힘빼기’ 작업은 이미 예고돼 왔다”면서 “장성택과 최룡해가 김정은의 동의를 얻어 리영호에 대해 치밀한 내사를 진행, 비리를 적발해 숙청한 것이 이번 사건의 전말이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리용호가) 세습절차 완료 전에는 활용도가 컸지만 지금은 김정은 1인 독재체제 강화에 잠재적 부담이 될 수 있는 신군부 세력에 강력한 경고 메시지를 담은 조치”라며 “당 정치국 회의 명의로 당직을 해임한 것은 당의 군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려는 의도”라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또 리영호 해임으로 앞으로 북한 권력층 내부에서 김정은에 대한 맹목적 충성경쟁과 눈치 보기가 심화되는 이중적 현상이 전개될 것으로 전망했다.


관계자는 “북한이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진 경제관리 개선 시도가 신군부세력 등 변화 거부세력의 위축에 따라 탄력을 받을 수도 있지만, 장기적으로 복지부동에 따른 정책실패로 이어질 공산이 크다”고 전망했다.


이어 “리영호의 해임에 불만을 품은 군부 세력이 수세국면을 탈피한 후 반격을 시도할 경우 심각한 정치불안이 초래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우려했다.


그는 “특히 신군부의 핵심인물로 천안함 폭침·디도스공격 등 대형도발을 주도한 김영철의 경우 그 누구보다 신변 불안감이 클 것”이라며 “장성택, 최룡해가 김영춘·오극렬·현철해 등 구(舊) 군부세력을 끌어들여 압박을 강화할 경우 이는 군부내 소장파들을 결집시켜 돌출행동을 시도하는 등 극단적 선택을 할 수 있다”고 관측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