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군이 북한의 로켓 발사를 24시간 감시하는 체계를 가동중이며, 발사체 파편이 러시아 영토 내에 떨어질 경우에 대비하고 있다고 4일 러시아 국영 TV 베스티가 군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다.
이 관계자는 “극동지역에서 북한의 로켓 발사에 대비하고 있으며 우리는 로켓의 궤도를 파악하고 발사체 파편이 러시아 섬이나 내륙에 떨어지지 않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러시아 극동 미사일부대 세르게이 로샤 부사령관은 “극동지역에선 상시 정찰 활동이 이뤄지고 있고 방공 시스템이 가동 중이며 기술적으로, 전술적으로 날아가는 무기를 잡아낼 수 있기 때문에 북한의 로켓 발사는 극동지역에 아무런 위협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또 “우리는 모든 높이의 목표물을 요격할 수 있는 S-300 방공 미사일 로켓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발언은 러시아가 북한 로켓에 대해 요격으로 직접 대응하겠다는 것보다 북한이 러시아에 피해를 주거나, 우려를 살 만한 행동을 해서는 안 된다는 일종의 `경고’라는 게 관측통들의 분석이다.
로샤 부사령관이 “러시아는 예정된 로켓 발사보다는 로켓 파편이 우리 영토에 떨어지지 않고 어떠한 인명피해도 없어야 한다는 점을 중요시하고 있다”고 말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보인다.
앞서 러시아 총참모부의 한 고위 간부는 지난 13일 현지 언론에 “미사일 발사체가 러시아 영토를 지나간다는 가정 하에 조기 경보 시스템과 영공감시망을 통해 극동 지역을 자세히 살필 것”이라면서 “로켓 잔해가 우리 영토에 떨어질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러시아 정부는 북한 로켓 발사 실행 여부 및 탑재물의 정체를 예의주시하면서 외교, 군사, 정보 진용을 총 가동해 북한의 동태를 살피는 것으로 알려졌다.
러시아는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가 역내 긴장을 고조시킬 것이라면서 발사 자제를 수 차례 요청한 바 있다.
지난 2일 외무부 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로켓 발사 자제는 국제 사회의 우려를 잠재우고 북핵 6자회담에서 신뢰를 쌓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며 “북한은 역내 긴장을 고조시키는 것을 피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대통령도 1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공동으로 발표한 성명에서 북한이 발사를 자제하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결의안을 지키기를 촉구한다고 밝혔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