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왜 체류연장 제의했을까

없던 일로 됐지만,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3일 ’2007 남북 정상회담’ 일정을 하루 더 연장할 것을 노무현 대통령에게 제의한 데 대해 전문가들은 남북관계 진전을 위한 합의를 도출하기 위한 것이었을 것이라고 봤다.

고유환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노무현 대통령이 수행원들과 오찬 자리에서 오전 회담 분위기를 전하면서 어려운 문제가 있는 점을 시사한 것을 들어 “김정일 위원장 입장에서 뭔가 남북관계의 실질적 진전을 이룩할 합의를 구체화하고 싶었던 것 같다”고 추측했다.

김 교수는 “노 대통령의 임기 말이라는 점을 감안해 남북관계를 제도화할 수 있는 부분 등을 충분히 얘기하자는 의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며 “다음에 (남측에) 어떤 성격의 정부가 들어서더라도 남북관계가 진전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되기를 희망한 것”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남북 평화선언을 도출하기 위해 ’근본문제’중 해결해야 할 과제나, 경제협력과 관련해 개혁.개방에 따르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경제재건을 하는 문제가 김 위원장의 의중에 있었을 것이라고 관측했다.

백학순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은 “첫째는 협상이 쉽게 진행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고, 둘째는 성과없이 회담을 끝낼 수 없다는 생각에서 성과를 내기 위해 하루 더 필요하다고 판단했을 수 있으며 세번째로는 끈기를 갖고 협상을 하면 뭔가 구체적인 성과를 기대할 수 있겠다는 생각을 했을 수 있다”고 말했다.

구체적인 쟁점에 대해 백 위원은 “서해 북방한계선(NLL) 등 북한이 그동안 제기해온 근본문제보다는 평화문제 등에 대한 논의가 쉽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하고 “회담에서 개성공단에 대한 남북한의 인식이 다른 점, 남측을 못 믿겠다는 얘기를 했다는 점으로 추측하면 평화정착, 경제협력 문제가 쉽지 않았던 것 같다”고 말했다.

서재진 통일연구원 북한인권연구센터 소장은 “핵 문제나 평화선언, 북미 국교정상화 같은 부분에 대한 남측의 설명을 들은 김 위원장이 판을 굉장히 크게 봤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서 소장은 “NLL과 같은 문제는 지엽적 차원이어서 북측의 생존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안이 아니며 핵문제나 북미관계가 생존에 결정적인 것”이라고 쟁점의 소재를 추측했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