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진보당 김재연 의원이 “북한을 인정하지 말자는 것은 전쟁하자는 것 밖에 안된다”는 궤변을 늘어나 파장이 일고 있다.
김 의원은 4일 KBS TV와 인터뷰에서 북한 3대 세습과 탈북자 인권에 대해 “북한 체제를 인정하는 것과 북한 통치권력을 승계하는 문제는 다른 관점에서 봐야 한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이어 “통합진보당이 그동안 얘기해왔던 평화통일을 위해 상대방으로서 북한 체제를 인정하는 것은 (나의) 정체성이라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김 의원은 ‘평화를 위해 북한이 공격해도 참아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맞불 놓으면서 전쟁을 일으키면 안된다”며 “남북화해모드를 조성해야 한다”고만 답했다.
‘친북인사냐’는 직접적인 질문에는 “평화통일을 위해 노력하겠다”며 직접적 답변을 피하면서도 “김대중·노무현 정권과 자신의 통일 활동과 비슷하다”고 덧붙였다.
김 의원의 발언은 ‘김정은 체제’를 인정하고 북한의 공격에도 평화유지를 위해 대응해서는 안된다는 해석이 가능해, 같은당 이석기·이상규 의원과 마찬가지로 종북(從北)성을 드러낸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일고 있다.
당권파의 실세로 알려진 이석기 의원은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북한을 바라보는 시각과 관련 ‘내재적 접근에 공감한다’고 했고 ‘종북보다 종미(從美)가 더 문제’라고 밝힌 바 있다. 이상규 의원 역시 한 방송서 “북한인권, 북핵, 3대 세습에 대한 입장을 말해달라”는 질문에 ‘말돌기리’로 일관해 거센 ‘종북’ 비판을 받기도 했다.
한편, 김 의원의 인터뷰가 보도되자 네티즌들의 비판이 쏟아졌다. 주요 포털사이트에 “그럼 우리는 앉아서 당하라는 말인지?” “아무리 다른 맥락으로 이해해보려고 해도 명백한 종북이고 주사파임이 분명하다’ ‘군사적 대응을 안해서 평화를 유지하자는 발상은 우리나라가 그대로 김정은의 총칼 앞에 굴복해서 항복하자는 말로 밖에 안들린다” 등의 비판이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