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한미, 북핵대처 이견 없어”

미국 국무부는 23일 이명박 대통령의 북핵 `그랜드 바겐’ 언급 이후 일각에서 한미간 이견 논란이 제기되는데 대해 “양국 간에 6자회담의 목표와 관련해 어떤 간격(daylight)도 실제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국무부 고위관계자는 이날 연합뉴스 기자 등과 만난 자리에서 `그랜드 바겐’이 논란이 되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북핵 대처와 관련한 한미간 조율에 대해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한미 양국은 매우 긴밀한 조율을 해 왔다”고 강조했다.

다만 그는 커트 캠벨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차관보가 이 대통령의 `그랜드 바겐’ 언급이 나온 같은 날 브리핑을 하는 바람에 캠벨 차관보가 `몰랐다’는 언급을 한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국무부는 이날 북한이 되돌릴 수 없는 비핵화 조치를 할 경우 포괄적인 방법으로 상응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것은 북핵 6자회담의 5자(한.미.일.중.러)간 공유된 입장이라고 밝혔다.

이언 켈리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미국의 포괄적 상응조치 입장이 한국 이명박 대통령의 `그랜드 바겐’ 방안과 같은 것이냐’는 연합뉴스 기자의 질문에 “5자 사이에는 진전을 위한 매우 폭넓고 깊은 컨센서스(의견일치)가 형성돼 있다”고 말했다.

그는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은 (과거에) 북한의 되돌릴 수 없는 비핵화 조치라는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면 우리와 파트너들은 포괄적인 방법으로 상응하는 조치를 취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면서 북한의 비핵화시 포괄적 상응 조치를 취할 용의가 있음을 거듭 강조했다.

켈리 대변인은 “그것(포괄적 상응조치)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어떤 상응조치를 우리가 취할지는 미리 판단하지 않을 것”이라면서 “그러나 이는 5자가 매우 많이 공유하고 있는 입장으로 우리의 일관된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자신이 전날 이명박 대통령의 `그랜드 바겐’ 언급에 직접 코멘트를 하지 않은 것과 관련, “다른 나라 지도자들의 언급에 관례적으로 코멘트를 하지 않아 왔다”고 해명했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