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9일(현지시간) 북한이 장거리 로켓 발사에 이어 3차 핵실험을 강행할 경우 도발행위로 간주하고 이에 대해 강력하게 대응할 것임을 밝혔다.
제이 카니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북한이 장거리 로켓 발사를 강행할 경우 이는 명백한 도발이자 국제사회 의무 위반이며, 추가적인 핵실험도 도발행위”라고 지적했다.
카니 대변인은 이어 “북한의 이같은 결정은 지도부가 국제적 고립을 끝내고 국제사회에 편입해 주민들의 고통을 해결하기 위해 나서지 않을 것임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그는 “우리는 북한을 고립시키고 압박하는 동시에, 북한을 상대로 더 나은 미래를 위해서는 국제사회의 의무를 준수하고 국제사회에 편입해야 한다는 점을 명확하게 밝히기 위해 계속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카니 대변인은 “우리는 이 문제에 대해 중국을 포함해 동맹국들과 폭넓게 공조하고 있다”면서 “오바마 대통령이 최근 서울에서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과 만나 이 문제를 논의했다”고 전했다.
빅토리아 눌런드 국무부 대변인도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우리는 6자회담 참가국들이 북한에 대해 같은 태도를 취할 수 있도록 긴밀하게 공조하고 있다”며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 중단에 대한 압력을 행사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중국이 한반도 비핵화에 관해 우리와 이익을 공유하고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중국에 이를 위해 더 효과적으로 행동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중국에 (북한 장거리 로켓 발사 저지를 위해) 가능한 모든 일을 다할 것을 요청하고 있다”면서 “그들이 앞으로 남아있는 시간에 (북한에 대한) 영향력을 계속 발휘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눌런드 대변인은 북한에 영향력을 갖고 있는 모든 나라들이 반대하는 장거리 로켓을 북한이 발발사할 경우 국제적 고립이 심화된다는 점을 재차 밝혔다.
그는 “우리의 입장은 ‘하지 말라’는 것”이라며 “북한의 미사일 발사는 ‘나쁜 생각’으로, 매우 도발적이고 역내 안보에 대한 위협이며, 장거리 로켓 발사를 중단하겠다는 최근의 약속을 어긴 것”이라고 지적했다.
놀런드 대변인은 로켓 발사에 이어 3차 핵실험 가능성에 대해서도 “이는 똑같이 나쁜 짓”이라면서 “이런 형태의 어떤 행동도 그들을 더욱 고립시키고 국제사회의 일원이 되는 것을 어렵게 하고, 주민들에게 더 나은 삶을 제공하는 것도 어렵게 한다”고 지적했다. 다만 그는 핵실험 관련 구체적인 정보에 대해서는 언급을 피했다.
북한이 외국 언론들을 초청한 것에 대해 그는 “우리는 기자들에게 무엇을 하라고 할 입장에 있지 않다”면서 “(북한이 기자들에게) 무슨 말을 하든 로켓 발사는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라고 강조했다.
미국은 북한이 로켓발사와 3차 핵실험을 강행할 경우, 유엔 안보리를 통한 제재뿐 아니라 독자적인 제재 방안까지 강구할 방침이다. 특히 미국은 한일 군 당국과 북한의 로켓 추진체가 한반도 영해에 낙하할 경우 이를 요격하는 것도 검토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