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올 초 아소 다로(麻生太郞) 총리의 특사를 북한에 파견키로 하고 북한 측과 절충을 벌였다고 요미우리(讀賣)신문이 복수의 관계자 발언을 인용해 10일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이는 북한에 의한 일본인 납치 피해자 재조사 착수 등을 촉구하고 답보상태를 보이고 있는 북일 관계를 타개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북한이 탄도미사일 발사를 준비하는 등 국제사회와의 대결 구도를 강화함에 따라 일본 정부의 이런 방침은 3월 초 들어서 백지화됐다.
관계자에 따르면 대북 특사 파견에 적극적으로 나선 곳은 총리실 측이었다. 지난해 12월 말 총리 주변 인사가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총련)를 통해 북한 측과 접촉에 들어갔다.
일본 정부는 평양을 방문할 대북 특사로 국회의원 중진급 인사를 물색해 놓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북일 간 공식 접촉은 지난해 8월 중국 선양(瀋陽)에서 열린 공식 실무자급 협의를 마지막으로 단절됐다.
당시 북한의 일본인 납치 피해자 재조사를 약속하고 일본은 대북 경제제재 일부 해제를 반대급부로 제시했지만, 북한이 이를 실행하지 않으면서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다.
한 북일 관계자는 “북한 측에서는 일본의 제재완화를 기대하고 있었던 것 아니겠느냐”고 양측간 특사 파견과 관련한 논의의 의미를 분석했다.
일본 정부가 아소 총리의 대북 특사 파견을 검토한 것은 북일 관계 진전을 통해 침체한 정권의 지지도 회복 등을 겨냥한 측면도 있었다고 요미우리는 분석했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