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일부 언론이 북한이 세계 각지의 자국 외교관에게 중대발표에 대비하도록 ‘금족령’을 내렸다고 전한 보도가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건강과 관련한 ‘중대발표설’로 둔갑돼 파문을 낳고 있다.
북한의 중대발표설의 발단은 요미우리(讀賣)신문이 18일자 조간에서 ‘北의 금족령’이란 제목으로 3문장 짜리 짤막한 기사를 실은데서 비롯됐다.
요미우리는 이 기사에서 복수의 관계자를 인용해 수일전에 금족령이 내려졌다고 전하면서 “관계자들 사이에서는 남북관계인지, 김정일 위원장의 건강관련이 아닌가하는 견해가 나오고 있다”고만 보도를 했다.
신문 2면에 실린 이 기사는 워낙 간단한 기사여서 신문을 주의깊게 살펴보지않으면 눈에 띄지도 않을 정도였다.
그러나 이 기사는 프랑스의 AFP 통신을 타고 전세계로 전해졌다. 한국 정보 관계자의 코멘트와 최근 불거져 나온 김정일 위원장의 건강 이상설까지 덧붙여져 북한 내부에서 긴급한 사태가 발생한 것처럼 확대됐다.
일본 언론사 가운데 나름대로 북한 정보에 밝은 교도(共同)통신이나 NHK방송,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을 비롯한 다른 주요 일간지들은 이를 무시했다.
일본 외무성 등 정부 관계자도 이에 대한 논평을 하지않았다.
하지만 산케이신문이 하루지난 19일 조간에서 상세하게 보도했다. 새로운 사실은 없었지만 20일 중 중대발표가 있지도 모른다는 정보도 있어 방위성 등에서 정보 확인과 분석을 하고 있다는 내용 등을 덧붙였다.
북한에 관한 한 가능한 한 자세하게, 또 비판적인 시각으로 보도하고 있는 극우성향의 산케이는 복수의 북일관계자를 인용해 김정일 위원장이 사망한 데 따른 후계자 발표이거나 쿠데타에 의한 정변에 대한 억측도 있다고 전했다.
신문은 그러면서 금족령이 지난 14일부터 16일까지 내려졌다면서 다른 관계자의 말을 빌어 북한 외교관의 망명이 잇따르고 있어 이번과는 별도로 약 2주전에도 외교관에 대해 장기 외출 금지령이 내려졌다고 밝혔다.
일부 일본 언론의 이같은 보도는 북한 내부의 변화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는 상황에서 빚어진 해프닝쪽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북한에 관한 조그만 변화도 놓치지않는 일본 언론이 확대 재생산한 결과라는 지적이다.
일본 언론의 대북 정보는 냉전시대까지만 해도 비교 우위를 누리고 있었으나 지금은 한국내 정보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의 김정일 위원장의 건강 관련 보도도 한국내 정보나 한국 언론 보도를 인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도쿄(東京)의 한 소식통은 이번 중대 발표설에 대해 이전에도 내려졌던 대기령 정도에 불과할 것으로 분석하면서 “일부 일본 언론이 북한내 변화에 대한 희망을 담아 의도적으로 보도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