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정부는 북한이 유엔 군축회의 순회의장국을 맡은 것에 대해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조병제 외교부 대변인은 12일 정례브리핑에서 “유엔 군축회의 의장은 60개 참여 국가들이 영어 알파벳 순서에 따라서 돌아가면서 의장을 수임하는 체계”라며 “우리는 거기에 대해 특별히 큰 의미를 부여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더불어 캐나다 외무부가 북한이 의장국 임기가 끝나는 시점까지 군축회의를 보이콧을 선언한 것과 관련해서도 캐나다의 결정을 존중하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한편 미 국무부도 이날 북한의 군축회의 의장국 수임에 대해 “그 것이 비교적 낮은 수위의 중요치 않은(inconsequential) 이벤트이기 때문에 크게 유난 떨지는 않을 것(not to make a big deal)”이라고 밝혔다.
빅토리아 눌런드 미 국무부 대변인은 “합의에 기반한 체계(consensus-based organization)이므로 의장국이 우리와 문제가 있는 국가라는 이유만으로 어떠한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우리의 에너지를 모을 곳은 계속해서 진척을 이루어야하는 6자회담 프로세스”라고 말했다.
한편 조 대변인은 프랑스 정부가 9월 평양에 문화 교류를 위한 상주사무소를 개설할 것이라는 보도와 관련해서 “접촉이 확대되고, 강화됨으로 북한이 외부세계에 대해서도 좀 잘 알게 되고, 또 교류가 확대된다면 우리들로서는 환영할 일”이라고 말했다.
다만 “이러한 활동이 북한이 보다 더 국제사회의 환경에 더 적응해나가고, 스스로 개방해 나가고 개혁해 나가는데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추진이 되었으면 하는 기대를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