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SLBM 실험 나름 성공…2020년쯤 실질적 위협”

북한이 지난 23일 동해에서 발사한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KN-11·북한명 ‘북극성-1’) 실험이 나름대로 성공적이었으며, 2020년쯤 실질적인 위협으로 부상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북한 미사일 전문가인 미국 에어로스페이스의 존 실링 연구원은 25일(현지시간) 미국 북한전문웹사이트 ‘38노스’에 기고한 글에서 “북한의 SLBM이 작전 환경에서 신뢰성 있게 운용되는 방향으로 기술적 진전을 보이고 있음이 확인됐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어 실링 연구원은 “북한이 개발한 새로운 디자인은 아직 초기 단계이고 전면적 동력기 개발을 비롯해 많은 과제가 남아있다”면서 “2020년에 이르면 실전배치 준비가 이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일각에서는 이번 SLBM이 30km를 비행하는 데 그쳐 실패한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지만, 30km만 비행해도 탄도미사일 실험은 성공적인 것이라고 평가했다. 특히 발사속도가 음속을 초과했다는 점에 주목하면서, 이는 1단계 SLBM 미사일로서는 기술적으로 어려운 부분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이번 미사일이 30km를 비행했다면 이것은 30km까지만 날아갈 수 있도록 연료를 채웠기 때문일 수 있다”며 “이미 네 차례 SLBM 발사에 실패한 북한으로서는 연료를 완전히 채웠다가 실패하는 상황을 원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실링 연구원은 북한이 액체연료 추진시스템 대신 고체연료 추진시스템을 적용하면서 SLBM의 사거리가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고체연료 추진시스템의 사거리가 900km에 불과하기 때문에 1600km에 달하는 액체연료 추진시스템보다 짧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그러나 그는 “사거리가 비록 900km에 불과하더라도 미국과 동북아 동맹들에게 위협을 가하기에 충분하다”며 “한국의 전부를 사정권에 둘 뿐만 아니라 동해 밑으로 내려갈 경우 일본의 어느 곳도 타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실링 연구원은 “새로운 기술과 시스템이 도입될 경우 고체연료로 추진되는 북한의 SLBM은 더욱 신뢰성을 갖추게 될 것”이라며 “이번 미사일이 잠수함에서 발사됐든, 수중 바지선에서 발사됐든 간에 북한은 SLBM을 30km를 비행시킬 수 있는 실험능력을 확보하게 됐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