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북 소식통은 이날 “북한이 과거 2차례 핵실험을 실시한 함북 길주군 풍계리에서 제3차 핵실험을 은밀하게 준비하고 있다”며 “최근 촬영된 상업위성영상을 근거로 북한이 풍계리 핵실험장 내 기존 2개의 핵실험 갱도 외 새로운 갱도를 굴착하고 있으며 공사가 마무리 단계에 있는 것으로 확인했다”고 전했다.
북한이 장거리 로켓 발사 후 핵실험을 실시하는 것은 이번이 세 번째다. 북한은 2006년 7월 ‘대포동 2호’ 발사 3개월 뒤인 10월 1차 핵실험을 실시했고, 2009년에는 장거리 미사일 발사(4월) 1개월 후인 5월 핵실험을 전격 실시했다.
지난 1일 촬영된 미 상업위성인 ‘퀵버드’ 촬영 영상을 보면 풍계리 핵실험장 내 기존 2개의 핵실험 갱도외 새로운 갱도를 굴착하고 있다. 갱도 입구에서 토사더미가 식별됐고, 이 토사는 다른 지역에서 반입된 것으로 지난달부터 그 양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
과거 북한이 핵실험 직전 마지막 준비 작업으로 갱도를 토사로 메워 왔다는 점에서 장거리 미사일 발사 후 국제사회의 압박을 구실로 핵실험을 실시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정보당국은 판단하고 있다.
이와 관련 북한의 입장을 대변하는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총련) 기관지 ‘조선신보’는 지난 4일 ‘도발에는 강력한 대응조치’란 제목의 기사에서 2009년 4월 장거리 로켓 ‘광명성 2호’ 발사 후 유엔 안보리가 대북제재를 결의하자 5월에 2차 핵실험을 강행한 사실을 상기시키면서, 3차 핵실험을 경고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정부 당국자는 “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이어 핵실험 실시를 반복하는 북한의 행태를 볼 때 ‘위성 발사’가 실제로는 장거리 미사일 개발을 은폐하기 위한 구실에 불과함을 보여주는 것이며, 핵 운반수단인 장거리 미사일 확보가 그들의 실제 목적임을 자인하는 결과”라고 말했다.
전성훈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데일리NK와 통화에서 “로켓발사 등에 따른 유엔 안보리 결의 등과 상관없이 핵과 운반수단 능력을 실험하겠다는 당초 계획을 이행중인 것”이라며 “미사일 발사 후 핵실험을 강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북한은 지난 6일 평북 철산군 동창리 기지에서 1단계 추진체를 발사대에 거치한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3, 4일 안으로 나머지 2·3단 추진체 등 모든 로켓 조립을 끝내고 연료 주입에 착수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정보당국은 기상상태를 고려해 이르면 12일, 늦어도 15일 전에는 장거리 로켓을 발사할 것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