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당국이 함경북도 수해와 관련해 호소문으로 총동원령을 하달한 가운데, 김정은이 최근 각 도(道)별로 주민 5000명과 돌격대, 인민군 등을 대거 동원해 총 10만 명을 수해 복구 지역에 파견할 것을 결정했다고 소식통이 알려왔다.
당국이 수해 복구보다는 핵실험에만 몰두한다는 불만이 나올 것을 우려, 김정은이 수해 복구에 대규모 인원을 동원하면서 인민애 선전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함경북도 소식통은 12일 데일리NK와의 통화에서 “최근 위(당국)에서 수해 지원으로 각 도에서 5000명씩 선발하라는 지시가 있었다”면서 “따라서 도당에서는 각 공장 기업소에 인원을 정해줬고, 이에 기업소에서는 동원 가능한 노력을 선발하고 있다”고 전했다.
소식통은 이어 “평양 ‘려명 거리’ 건설에 동원됐던 돌격대와 각 지방 주둔 군대에도 동원령을 하달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모든 인원을 합쳐서 10만 명가량을 동원한다는 것으로, 수해 복구에 이렇게 대대적 인원을 동원하는 건 처음 있는 일”이라고 덧붙였다.
▲지난달 31일 촬영한 함경북도 온성군 남양노동자구의 수해 모습. /사진=데일리NK 자료사진 |
북한 당국이 9일 정권수립기념일에 강행한 5차 핵실험보다 수해 복구동원 선전에 주력하는 이유는 예상보다 주민 반발이 거세기 때문으로 보인다. ‘핵실험을 또 한 것 모르느냐’는 질문에 소식통은 “말도 마라. 다들 어이없어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회령 망향동은 모래밭으로 변할 정도로 피해가 막심했고, 함북 국경경비대 초소가 갑자기 불어난 물살에 휩쓸리면서 사망한 군인들도 상당수”라면서 “주민들은 실의에 빠져 복구 작업은 생각도 못하고 있다. 이 상황에서 (당국의) 핵 놀음을 좋아할 사람이 있겠느냐”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소식통은 “무산, 회령, 온성 주민들은 오랫동안 생각지도 못한 험한 꼴을 겪었다”면서 “작년에 발생한 나선 수해 피해 보다 몇 배 심각하다는 이야기가 나오는 등 민심이 뒤숭숭한 상황을 당국도 못 본 척 그냥 넘어갈 수는 없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난해 수해 복구 때처럼 당 창건 기념일(10·10)까지 복구 완료를 지시했다고 한다. 소식통은 “7차 당 대회 후속 사업으로 개최 예정이었던 당 위원장 대회도 미뤘다는 이야기가 들린다”면서 “다만 한 달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제대로 복구가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고 말했다.
당국이 수해 복구 작업 기간을 정해 놓고 보채고 있지만, 대체로 큰 기대를 하지 않는 분위기라는 게 소식통의 설명이다. 총 동원 인원 10만 명 중 일반 주민이 절반(9개 도에서 각 5000명씩 총 4만 5000명 동원)을 차지한다는 점에서 제대로 된 성과를 내지 못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는 것.
▲지난달 31일 촬영한 함경북도 온성군 남양노동자구의 수해 모습. /사진=데일리NK 자료사진 |
또한 이들이 본인들의 숙식을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소식통은 “수해 복구 작업을 하기 전 동원된 사람들의 숙소를 먼저 짓겠다고 하는데, 이래서야 제대로 복구작업을 할 수 있겠느냐”면서 “현지 주민들은 겨울이 다 되어도 우리들의 보금자리는 마련되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나선 수해 복구 때 군인들이 날림식 공사를 해서 물이 줄줄 흐르고 벽이 다 떨어져 나갔다는 소식을 주민들도 익히 들어서 알고 있다”면서 “(김정은은) 이렇게 인력을 대거 동원해주면 주민들이 좋아할 것이라고 생각했겠지만, 현지 주민들은 시큰둥한 분위기”라고 현 실정을 소개했다.
한편 당 중앙위원회는 10일 ‘열심단결의 거대한 위력으로 함북도 북부피해복구 전선에서 전화위복의 기적적승리를 쟁취하자’는 제목의 호소문을 전체 당원들과 인민군, 인민들에게 보내 “(당은) 200일 전투의 주 타격방향을 북부피해복구 전투에로 전환시키고 전당, 전군, 전민이 총력을 집중할 데 대한 중대조치를 취했다”고 전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