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 국무부는 5일(현지시각) 논평을 통해 방북중인 미국의 전문가팀이 영변핵시설에 대한 불능화 작업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톰 케이시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미국 전문가팀이 북한의 영변핵시설 불능화 절차에 착수했다”며 “이는 이 과정에서 긍정적인 첫 걸음”이라고 말했다.
케이시 부대변인은 “북핵 불능화 실무팀장인 성 김 국무부 한국과장은 ‘영변에 도착해 핵시설들 불능화의 첫번째 국면 개시와 관련한 활동들을 시작했음’을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에게 알려왔다”고 전했다.
북핵 6자회담 ‘10.3 합의’에 따라 올 12월31일까지 완료해야할 불능화 대상은 영변의 5MW 실험용 원자로와 재처리시설(방사화학실험실), 핵연료봉제조공장 등 3개 시설에 맞춰져 있다.
케이시 부대변인은 영변핵시설 불능화작업은 “분명히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리는 절차”이지만 불능화 착수는 “긍정적인 첫 걸음으로 우리는 이것이 지속되기를 강력히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불능화 작업과 관련한 구체적 진행 정도는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현재까지 영변 3개 핵시설에 대한 불능화 수준을 어느 정도로 할지는 구체적으로 밝힌 바 없다. 단지 5MW 원자로 노심(爐心) 안의 폐연료봉 8천여개를 인출하는 방안 등이 포함된 ’11개 불능화 조치’에 합의한 것으로만 알려졌다.
소식통들에 따르면 5㎿ 원자로의 경우 냉각탑의 내화벽돌이나 핵분열 반응을 일으키는 제어봉을 움직이는 ‘제어봉 구동장치’, 재처리시설은 연료봉을 옮기는 크레인이나 연료봉 절단장치, 핵연료봉 제조공장은 우라늄과 화학물질을 섞는 반응로 등을 제거하는 방법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8천여개에 달하는 폐연료봉의 경우 중량이 50t에 달해 이를 빼내 수조에 보관하기까지 최소 6주가 걸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피폭 등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어 올 연말까지 작업을 완료하기에는 무리라는 지적도 만만치 않다.
5MW 원자로에 대한 불능화 조치와 함께 방사화학시설험과 핵연료봉제조공장에 대한 불능화 작업도 동시 진행된다. 전문가들은 폐연료봉 인출을 제외한 나머지 조치들은 4주 정도면 대부분 마무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한편, 힐 차관보는 이달초 중국 베이징에서 열렸던 미북 양자회동에서 북한에 대한 테러지원국 해제를 위한 구체적인 조건을 제시하면서, 제2차 북핵위기의 발단이 된 농축우라늄프로그램(UEP)에 대한 분명한 해명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