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南北, 타미플루 지원 협의 진행”

정부는 북한 신종플루 발생과 관련, 11일 북한과 판문점 연락관 협의를 갖고 구체적인 치료제 지원방안과 세부 절차 등을 논의한다. 


이종주 통일부 부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우리 측은 북한당국이 신종플루 확산에 대응하는데 필요한 충분한 정도의 양을 지원한다는 기본입장에 따라 50만 명 분의 치료제 등을 지원하는 방안을 가지고 있다”면서 “구체적인 지원의 시기와 경로, 절차 등은 북측과 연락관 협의 등을 거쳐서 정해지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부대변인은 “이 문제를 협의하기 위한 별도 실무접촉은 계획하고 있지 않다”며 “일단 연락관 협의를 통해 필요한 의견을 교환하다가 다른 협의 방식이 필요하면 그 때 다시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또 “현재까지 북한의 신종플루 발병 상황에 대해 북한이 밝힌 확진환자는 9명에 불과하지만 판문점 연락관 협의를 통해 북한의 상황을 추가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며 “지원 규모를 ’50만명 분’으로 검토하고 있는 것은 초동차단의 필요성과 동절기 급격한 확산 가능성을 고려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 안에서는 이번 타미플루 등 의약품 지원에 필요한 ‘신속성’을 담보하기 위해 경의선이나 동해선 육로를 통한 지원이 유리하지 않겠냐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앞서 현인택 통일부 장관은 10일 국회 예결산특별위에 출석해 “북한 신종플루 확산 초동에 대처할 만한 (타미플루) 50만명 분을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했다.


현 장관은 “대통령이 순수한 인도적 차원에서 북한 지원을 말씀하신 것이니 조건없이 신속하게 치료제를 제공할 생각”이라며 “상황이 확산되면 더 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