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북한이 다음 달 개성에서 세월호 추모 행사를 포함한 6·15 공동행사를 열자고 제안한 것과 관련, 부적절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박수진 통일부 부대변인은 21일 정례브리핑에서 “북측에서 민족공동행사와 공동추모행사를 진행할 것을 제안해 온 것으로 알고 있다”며 “정부 입장은 현재 남북관계 상황에서 6·15 공동행사 개최는 부적절하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6·15공동선언실천 북측위원회는 6·15공동선언 발표 14주년을 맞아 6월 15일 개성에서 민족공동행사를 열고 세월호 참사에 대한 남·북·해외 공동 추모행사도 함께 진행하자고 제안했다고 6·15공동선언실천 남측위가 21일 밝혔다.
북측위는 또한 공동행사 준비를 위해 이달 말 개성에서 남·북·해외 실무회의를 열 것을 함께 제안했다. 이 같은 북측위의 제안에 대해 통일부는 실무 접촉도 어렵다며 불허 입장을 밝혔다.
한편 정부는 2010년 북한의 천안함 폭침에 따른 5·24 대북제재 조치 이후 남북 간 6·15 공동행사 개최를 불허해왔다.
북측의 이 같은 제안에 대해 유동렬 자유민주연구원 원장은 데일리NK에 “6·15 공동행사 제안을 우리 정부가 아닌 민간단체에 제안한 것은 정부와 민간단체의 갈등을 부추기려는 의도”라며 “북측의 제안에 진정성이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북측의 이런 제안은 기본적으로 남남갈등을 목적으로 남한 내 분열을 촉진시키려는 전형적인 북한의 통일전략전술의 일환”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