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당국, 노동자 월급 ‘400원대’ 검토”

9일 폐막된 양강도 재정일꾼실무회의에서 기업소간 채무를 모두 청산하고, 일반 노동자들의 월급을 ‘400원대’로 하향조정 하는 방침 등이 거론된 것으로 전해졌다.


양강도 내부소식통은 11일 데일리NK와 통화에서 “이번 회의에서 그동안 월 1천3백원에서 2천5백원 사이였던 노동자들의 임금을 400원 전후로 검토하고 있다는 이야기가 발표됐다”며 “만약 이렇게 된다면 군당 책임비서들의 월급은 1천원 정도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임금과 관련 정확한 방침은 나중에 부기원(기업소 회계담당 사무원)들에게 전달키로 했다”면서 “이 모든 조치가 완벽한 것이 아니며 앞으로 계속 보강해 나갈 것이라는 설명이 이어졌다”고 덧붙였다.


이 소식통은 또 “기존의 기업소들간 모든 채무관계는 ‘0’ 으로 하며, 외화벌이 단위들은 차후에 조정될 것”이라면서 “이역시 100% 확정된 것은 아니고 추가 변동이 있을 수 있다고 전달됐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 조치는 기업소간 기존의 채무 규모가 크지 않기 때문에 실제로는 큰 의미가 없는 조치로 해석된다.


소식통에 따르면 8일부터 시작된 이번 회의에서는 우선 ‘화폐교환에 대한 우리 공화국 정부의 입장과 정당성에 대하여’라는 정치강연으로 시작됐다.


그는 “이번 화폐교환이 시작될 당시 인민반 교양에서는 방침의 지도 주체를 ‘당과 공화국 정부’라고 표현했지만, 이번 회의에서는 ‘당’이 빠지고 ‘공화국 정부’만 들어갔다”고 지적했다. 
 
이 정치강연에서는 “일꾼들의 노력과 인민들의 적극적인 동참으로 국가의 화폐교환 사업을 성공리에 끝마칠 수 있었다”는 자평과 함께 “대중을 교양하고 이끌어야 할 간부들 중 소수가 개인 이속을 챙기기 위해 비사회주의 행위를 저지르는 너절한 모습을 보였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강연에서는 북창화력발전소 보수직장, 평성화장품공장 등에서 부정행위가 있었음을 상기하며 “공화국 법기관들이 예리하게 주시며 철저한 조취들을 취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됐다.     


9일 오전 회의는 중앙의 일방적인 방침 전달이 아니라 참가자들의 질문과 의견발표 형식으로 진행됐던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노동자들의 생활을 안정화 시키는데 관련한 의견들이 제기됐다고 소식통은 말했다.


회의 참가자들은 “빨리 합리적인 가격을 제정해 노동자들을 안정시켜야 한다” “식량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가격을 막지 못할 것” “기존의 월급과 식량가격(국정가격)을 고수해야 한다”는 등의 발언을 이어갔다.


오후로 이어진 회의에서는 일부 기관기업소들의 임금문제와 기업소간 채무문제를 임시 조정하고 향후 더욱 보강된 조치들이 이어질 것이라는 내용이 발표됐다. 가격조치 문제도 “추후에 국가 방침이 전달될 것”이라고만 이야기 됐다.


이날 발표된 유일한 국정 가격은 열차 운임이었다. 9일 점심시간부터 ‘임시열차운행표’가 청년혜산역에 게시됐다. ‘임시’라는 말을 붙여 앞으로 또 개정이 있음을 시사했다. 


소식통은 “혜산-평양이 46원, 혜산-백암이 18원으로 정해져 오히려 거리 대비로 따지면 도내에서 이동하는 열차 운임이 더 비싼 셈이다”고 설명했다.


그는 “평양열차 운임 46원은 대학교 조기 방학에 따라 평양시대 대학생들이 고향으로 귀가할 때 임시적으로 적용했던 열차운임 46원을 그대로 적용한 것”이라며 “별다른 의미는 없는 것 같다”고 내다봤다.


화폐개혁 직후 반드시 뒤따라야 할 가격조치가 이번 제정일꾼 회의에서도 발표되지 않자 북한 주민들 안에서도 다양한 논란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소식통은 “요즘은 두 세 사람만 모여도 ‘나라가 어디로 가려는지 모르겠다’고 수근거린다”며 “국가에서 임금이나 가격을 정해줘야 시장이 다시 돌아가겠는데, 국가에서 꾸물거리니 일반 백성들은 갈피를 못 잡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