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S “김일성, 美 병력 배치에 겁먹어 정상회담 제의”

김영삼 전 대통령은 김일성이 94년 1차 북핵위기 당시 남북정상회담을 제안했던 것은 미군의 전력 증대에 위기감을 느꼈기 때문이라고 14일 밝혔다.

김 전 대통령은 이날 SBS 라디오 특별기획 ‘한국의 현대사 증언’에 출연 “김일성은 미 군함 33척, 항공모함 2척이 동해에 있던 것을 전부 알고 있었다”며 “당시 방북 해 김일성을 만난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은 김일성이 되게 겁을 집어먹고 있다’고 전했다”고 밝혔다.

김 전 대통령은 전날 같은 방송에서 “94년 1차 북핵위기 당시 미국이 동해안에 병력을 배치하고, 북한 영변에 대한 공격을 준비했었다”고 말했었다.

그는 카터 전 대통령의 방북에 앞서 정상회담 제의를 했느냐”는 질문에 “그런 제의는 안 했다”며 “카터 전 대통령이 김일성에게 ‘이 위기사태를 수습할 수 있는 사람은 김영삼 뿐이다’라고 했더니 ‘그러면 김 대통령을 만나게 해달라’며 정상회담을 먼저 제의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렇지만 카터 전 대통령의 방북에 “반대하는 입장”이었다며 “그래서 클린턴 대통령에게 바로 전화를 해 ‘어떻게 된 일이냐’고 묻자 ‘그것은 사실상 자기가 가라고 해서 가는 일이 아니라’고 말하더라”고 소개했다.

이와 관련, 카터 전 대통령이 방북 하기 전 식사를 하는 자리에서 “이북의 공산주의자는 절대로 믿을 수 없다. 어떤 말을 해도 절대 속아서는 안 된다”고 조언을 했다고 밝혔다.

회담 장소에 대해서는 “당시 이홍구 총리와 북한 김용순이 판문점에서 회담을 했는데, 평양도 좋다고 양보를 하라고 지시했었다”며 “답방 문제는 확정 짓지 말고 평양에 갔을 때 정상회담에서 결정을 하기로 했었다”고 설명했다.

경호 문제에 있어서도 “김 전 주석 경호원과 우리 경호실간 회담에서 회담 장소에 우리 경호원 두 사람이 무장을 하고 들어갈 수 있도록 합의를 했다”며 “참 멋있는 합의였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정상회담 의제와 관련 “핵이 제일 문제가 됐을 것이고, 아마 군비축소를 하자고 제안을 했을 것”이라며 “김 전 주석이 어떻게 받아들일지는 몰랐었다”고 말했다.

분단 후 첫 남북 정상간의 만남은 그 해 7월 8일 김일성의 갑작스런 사망으로 불발에 그쳤다. 김 전 대통령은 이에 대해 “청와대에서 오찬 중 김일성이 사망했다는 소식을 전해 듣고 얼마나 놀랬는지 모른다”며 “나하고 모든 걸 이야기하기로 했는데, 기가 막혔다”고 회고했다.

한편, 김 전 대통령은 “노태우 전 대통령의 비핵화 선언은 잘못했다”며 “북한에서 핵을 만든다고 하는데 미국의 핵을 전부 철거하도록 만들어 버렸다. 지금도 핵을 가지고 있으면 얼마나 강한 힘이 되겠느냐”고 아쉬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