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보건기구(WHO)는 북한의 보건분야를 지원하기 위한 사업계획을 구체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29일 WHO 관계자들에 따르면 남북경협기금에서 매년 1천만 달러를 지원받게 될 사업 계획의 시안이 최근 마련됐으며 늦어도 내주중 한국 통일부측과 접촉, 세부 논의 과정을 밟을 예정이다.
WHO가 추진할 대북 보건 분야 지원 사업은 ▲북한 군단위의 의사,간호사, 조산원, 관련 공무원을 위한 훈련 프로그램 ▲의료장비와 기초 의약품 지원 ▲구급차 제공 등이 골자로 돼 있다.
세계보건기구는 올봄 통일부로부터 북한의 산모와 영아 보건 개선을 위한 자금 지원을 약속받고 이를 위해 북한측의 요구사항을 파악하는 등 준비작업을 벌여왔다.
사업은 빠르면 내년 1월이나 2월부터 시행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WHO관계자들은 유럽연합 인도주의 업무조정국(ECHO)이 지금까지 매년 100만 유로 규모로 의료 장비와 기초 의약품을 제공해왔으나 북한측이 사업의 정리를 요구함에 따라 WHO의 사없계획에 포함된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ECHO가 대북 지원 사업에서 손을 떼는 것은 유럽연합이 최근 북한 인권 결의안을 유엔 총회에 상정한 데 따른 불만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앞서 원조의 중점을 긴급 구호에서 개발 지원으로 전환한다는 방침하에 인도주의적 사업에 역점을 두고 있는 유엔 및 국제기구, NGO(비정부기구)들에 연말까지 사업을 중단할 것을 여러 차례 종용해왔다.
WHO가 제공할 기초 의약품은 유엔아동기금(UNICEF)도 일정 부분 담당하고 있는 만큼 UNICEF의 지원대상에서 누락된 품목을 추가할 것으로 보인다. 구급차는 북한 보건성의 요청에 따른 것이라고 WHO관계자들은 전했다. /제네바=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