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DP, 지원자금 北이 어떻게 운용했는지 몰라”

북한의 유엔개발계획(UNDP) 자금전용 의혹을 조사 중인 유엔의 한 특별위원회는 UNDP가 북한의 자금 용처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고 2일 밝혔다.

미국은 북한이 UNDP의 자금을 빼돌려 해외 부동산을 구입하고 미사일과 무기 판매를 맡은 북한의 재무담당 에이전트에 UNDP의 자금을 지불하는 등 지원금 수백만달러를 전용했다는 의혹을 제기했었다.

유엔은 미국이 주장하는 여러 의혹들을 조사하기 위해 작년 9월 미클로스 네메스 전 헝가리 총리와 챈더 모한 바수데브 인도 전 재무장관, 메리 앤 우르쉬 전 유엔난민고등판무관 대리 등 3명의 외부인사들로 구성된 특별위원회를 설치했다.

이 위원회는 그 동안 UNDP가 부적절한 회계를 통해 정당한 근거 문서 없이 북한에 현금을 넘겨주고 북한이 임의로 선정한 직원들을 고용했다는 미국의 주장을 조사해왔다.

이에 대해 이 위원회는 UNDP가 적절한 서류 작업 없이 북한에 자금을 건네준 점, 북한 정부가 직접 임명한 직원들에게 너무 과다하게 의존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확신이 있다”고 밝히면서도 “UNDP는 북한 정부가 이들이 지원한 자금을 어떻게 운영할 것인지에 대해서 알고 있었다고 생각할 만한 증거는 없다”고 결론지었다.

유엔의 한 감사관은 이미 UNDP가 재정적 거래에 관한 자체 규정을 위반했다고 밝힌 바 있지만, 북한의 절차변경 거부에 따라 2007년 3월 북한에서 철수한 UNDP는 주요 혐의들을 부인한 바 있다.

보고서는 북한이 UNDP의 자금 272만 달러를 자금세탁창구로 의심되는 마카오은행의 한 평양관련 업체 계좌로 송금했다고 미국 측이 우려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지만 “UNDP 관리들로서는 이런 것들이 북한 정권에 의해 자금을 해외로 송금할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알 만한 이유가 없고 그런 증거도 없다”고 반박했다.

또한 보고서는 UNDP가 장록무역이라는 회사에 총 5만2천 달러를 지급했다는 점을 인정했지만, 북한 내 농업, 환경 등의 프로젝트를 추진해온 UNDP가 당시에 이 회사가 북한 측과 연계됐을 수도 있다는 점을 알았다는 징후가 없다고 지적했다.

미국은 그 동안 이 회사가 탄도미사일 등의 무기를 판매하기 위한 북한 측의 주요 금융거점이라고 주장해왔다.

이와 함께, 보고서는 UNDP가 북한에 700만 달러 가량을 지급했다는 유엔주재 미국대표부의 주장을 일축하면서 UNDP는 38만 달러만을 지급했을 뿐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케말 더비스 UNDP 총재는 이런 내용을 담은 특별위원회의 보고서가 공개된 이후 기자들과 만나 “작년 3월 북한에서 철수한 이후 중단돼온 북한 내 작업을 재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이사회에 권고할 수 있다”고 말했다.

더비스 총재는 “특별위원회의 조사결과로 인해 UNDP의 불법행위에 대한 의혹들이 해소됐다”면서 다만 “불법적인 위조지폐들이 즉각 당국에 제출되지 않은 것은 옳지 않은 일”이라고 덧붙였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작년 1월 이런 미국 측의 주장에 대해 감사를 촉구한 바 있으며, 이로부터 2개월 뒤 UNDP는 북한이 업무처리 절차 변경에 협조하지 않자 북한에서 작업 중이던 직원들을 철수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