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당국이 표류 어민 중 귀순자들에게 가족의 편지를 전해달라고 요청한 것과 관련, 1969년 KAL기 납북 사건의 피해 가족들도 북한 당국에 미송환 가족의 귀환을 촉구하는 편지를 전해달라고 통일부에 요청했다.
황인철 KAL기 납치피해자 가족회 대표는 10일 통일부 이산가족과에 아버지 황원 씨의 송환을 촉구하는 편지를 제출했다. 그는 이 편지를 판문점 연락사무소를 통해 북한 조선적십자회 장재언 위원장과 노동당 통일전선부장에게 전해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대해 통일부 관계자는 “판문점 연락사무소는 주로 당국간 메시지 전달이나 회담 지원에 필요한 연락을 해왔을 뿐, 개인서신이 전달된 적은 없다”며 “황 씨의 서신 내용과 요청 사항을 잘 살펴본 뒤 전달이 가능할지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황 대표는 데일리NK와의 통화에서 “북한이 귀순자의 송환을 촉구하며 인도주의를 얘기하는 것처럼 우리도 인도주의에 따라 가족을 만나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편지가 북한에 꼭 도착했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해 6월 유엔인권이사회 산하 강제적 비자발 실종 실무반에도 사건을 접수 했다”면서 “북한은 실무반의 규정에 따라 접수일로부터 6개월 내인 지난해 12월 17일 이전까지 답변을 줘야 했지만 아직까지도 아무 반응이 없는 상태”라고 설명했다.
KAL기 납치사건은 1969년 12월 11일 북한의 고정간첩들이 승무원과 승객 50여명이 타고 있던 강릉발 김포행 국내선 YS-11기를 납치한 사건이다. 이들 중 39명은 66일만에 한국으로 송환됐지만 남은 11명은 아직까지 생사도 알지 못한 채 돌아오지 못하고 있다.